
지난 2020년 코로나19 유행 당시 서울 을지로 국립중앙의료원 선별진료소에서 방호복을 착용한 의료진이 시민을 안내하고 있다. 당시 국립중앙의료원은 코로나19 재유행 가능성에 대비해 임시 격리병동을 상설화하는 등 중앙감염병병원 역할과 역량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사진=노진환 기자)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은 ‘포괄적 진료역량’을 갖추고, 응급 등 ‘필수기능’을 수행하는 지역 종합병원을 발굴ㆍ육성하기 위한 사업이다. △의료기관 인증 △지역 응급의료기관 이상 역할 수행 △350종류 이상의 수술ㆍ시술을 수행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한다.
포괄 2차 종합병원으로 선정된 기관은 △적정진료 △진료 효과성 강화 △지역의료 문제 해결 △진료협력 강화 등 4대 기능혁신을 이행하여야 한다. 중등도(질환의 위험이 중간 수준)환자 치료를 도맡으며, 중증 환자와 경증 환자는 각각 상급종합병원과 의원급 의료기관으로 보낸다. 또한, 지역 내 응급의료 환자를 적극적으로 수용해 치료하며 24시간 진료 기능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정부는 포괄 2차 종합병원이 기능혁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중등도 환자 진료 및 24시간 진료 등 필수기능 강화를 위한 지원과 기능혁신 성과에 대한 성과지원금으로 연간 7000억 원 내외를 투자할 계획이다. 상반기 중 참여기관을 선정해 하반기부터 사업이 시작된다.
복지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중증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2차 병원의 진료가 활성화된 지금이 2차 병원 역량 강화의 적기”라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종합병원을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는 곳으로 전환해 지역 완결적 의료전달체계를 확립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특성화 기능을 수행 중인 국립중앙의료원과 국립암센터에 대해서도 기관 단위 성과 보상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성과지표는 국립중앙의료원의 경우 감염·외상 기능 중심으로 설정됐으며, 국립암센터는 암 진료와 연구·교육 등 암 특성화 기능 위주로 설정됐다.
복지부는 “중앙 감염병·외상병원을 운영할 국립중앙의료원의 필수의료 특화 기능을 유지·혁신하고자 시범사업을 착수했다”면서 “본 사업을 통해 감염·외상 외에도 필수의료 분야 전반의 임상 역량 혁신을 단계적으로 추진하여 공공의료의 리더 병원으로서 위상을 확고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어 “그간 국립암센터가 상급종합병원 수준의 진료를 해왔으나, 암 진료에 특화된 운영으로 인해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받지 못해 적정 보상을 받지 못한 점을 고려해서 보상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