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전 국무총리./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2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소환 조사했다.
내란 특검은 이날 오전 10시 한 전 총리와 안 장관을 소환했다. 특검은 이들을 상대로 비상계엄 전후 국무회의 상황 등을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한 전 총리는 이날 오전 9시 52분쯤 서울고검에 모습을 드러내 '사후 계엄 선포문 작성 누구 지시 받고 했나. 윤석열 전 대통령 지시 없었나', '어떤 부분을 소명할 것인가', '직권남용 피해자라고 생각하는지', '내란 동조 의혹에 대한 입장이 있는가'란 질문에 모두 답을 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안 장관 또한 '어떤 부분을 조사받으러 왔나', '신분이 피의자인가 참고인인가' 등에 대한 답에 답하지 않았다.
한 전 총리는 계엄 이후 작성된 비상계엄 선포문에 서명했지만 며칠 뒤 '사후 문건을 만들었다는 게 알려지면 논란이 될 수 있다'며 폐기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내란 특검은 지난달 30일 강의구 전 대통령 부속실장을 소환해 계엄 선포문 사후 작성 경위를 조사하면서 이같은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 전 실장은 관련 조문을 확인하고 한 전 총리에게 비상계엄 선포 문건에 서명해달라고 연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 전 실장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서명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강 전 실장의 보고를 받고 '사후에 하는 게 무슨 잘못이냐'면서도 한 전 총리의 뜻대로 하라고 했고 해당 문건은 폐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12·3 비상계엄 당시 국무회의에는 윤 전 대통령을 포함해 △한덕수 전 국무총리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오영주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조규홍 전 보건복지부 장관 △김영호 전 통일부 장관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장관 외 국무회의 참석자들은 내란 방조 등 혐의를 받고 있다.
ddakbo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