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락. (이미지투데이)
"선생님 김밥 사실 때 우리 애 것도 하나 사서 같이 보내주세요."
한 교사가 겪은 이 같은 교권 침해 사례가 알려지면서 공분을 불러일으켰다.
최근 SNS 이용자 A 씨는 학부모 교권 침해 민원 사례집에 소개된 내용을 공유했다.
이에 따르면 교사는 체험학습 안내장을 학부모에게 전달하면서 "점심은 개별 준비해달라"고 말했다. 그러자 한 학부모는 "선생님 김밥 사실 때 우리 애 것도 하나 사서 같이 보내주세요"라고 요구했다.
교사는 자기 도시락 사러 가는 김에 학생 것도 사서 같이 포장하고, 들고 가서 챙겨달라는 학부모의 황당한 요구에 충격받았다고.
A 씨는 "이게 무슨 개인 비서냐? 교사는 학부모의 하청업체가 아니다. 밥 챙겨주고, 옷 챙겨주고, 체험학습도 같이 뛰고 이젠 도시락도 대행이냐?"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우리 애 김밥도' 한 마디에 참교육이 멈췄다. 이젠 진짜 애들보다 부모 상대가 더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야기를 접한 누리꾼들은 비슷한 경험담이 있다며 공감했다.
한 누리꾼은 "방과 후 교사인 이모한테 들었다. 애가 신발주머니를 놓고 가자 애 엄마가 '선생님 퇴근하시는 길에 우리 집 경비실에 맡겨주세요'라고 하더라"라며 "이모는 '제가 퇴근길에 학교 숙직실에 맡겨둘 테니 어머니 퇴근길에 찾아가세요'라고 대응했다. 진짜 별의별 미친 것들이 다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아이 엄마가 교사한테 자기 애 도시락 싸달라고 한 경우도 있다. 교사가 거절했더니, 애 엄마는 '선생님은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으시네요' 하더니 교장실 번호 물었다더라"라고 말했다.
한 초등 교사도 똑같은 말을 들어봤다며 "자기가 도시락 못 싸주는데 애 밥 어떡하냐는 학부모도 있었다. 실제로 꽤 많이 받는 연락이다. 그래서 전 '제가 김밥을 준비하지 않아 ○○이 김밥 사는 건 어렵다'고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나 때는 엄마가 선생님 김밥까지 집에서 준비했고 50명 중 절반 이상이 선생님 김밥 싸와서 금지당한 적도 있다. 이게 좋은 문화라는 건 아니지만 요즘은 왜 이렇게 개판으로 바뀌었냐?"는 반응을 보였다.
sb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