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위해 땡볕에 선 사람들…폭염 속 의료사각지대 '쪽방촌'[르포]

사회

이데일리,

2025년 7월 13일, 오후 07:10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박원주 수습기자] “병원이 이사를 간다고 해서 빨리 약을 받아놨어. 평소에는 한 달 치만 받아두는데 이번엔 두 달 치로 받았지.”

서울 영등포구 쪽방촌에 사는 모모(79)씨는 10일 구슬땀이 떨어지는 한낮에 병원 진료를 기다렸다. 모씨는 매일 아침에 고혈압 약 5알을 먹어야 한다. 38년째 무료 진료를 해온 ‘요셉의원’은 청년 시절 허리를 크게 다친 그가 유일하게 기댈 수 있는 곳이었다. 이날 모씨는 이달 말 병원이 이전한다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이곳을 찾아왔다. 그는 “걸을 때마다 목발을 짚어야 하는데 어떻게 그 먼 곳까지 가겠느냐”고 하소연했다.

10일 서울 영등포구 요셉의원의 진료를 받기 위해 환자들이 길게 줄을 서고 있다. (사진=박원주 수습기자)
의료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거주시설의 거주민들이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2주 넘게 이어진 폭염과 열대야 속에서 바깥보다 더운 집은 안식처로 기능하지 못했다. 쪽방촌 거주민 중엔 고령자와 기저질환자가 많아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도 높다. 하지만 이곳에서 만난 사람들은 병원비 없이 환자를 받는 동네병원이 마땅치 않아 땡볕 아래에 머물고 있었다.

이데일리가 방문한 영등포구 요셉의원에는 모씨처럼 무료 진료를 받으려는 7명이 진료 시작 30분 전부터 줄을 서고 있었다. 인근 쪽방과 고시원뿐 아니라 인천과 경기도에서 온 사람들은 손으로 계속 부채질을 했다. 20년째 쪽방촌에 거주한 이동수(63)씨는 “나라에서 주는 에어컨은 신청해도 집이 좁아서 못 단다”면서 “날씨가 더워서 아프신 분들이 많은데 병원이 재개발 때문에 없어진다고 하니 당황스럽다”고 말했다.

당뇨를 앓는 추모(72)씨는 “기초수급 생계급여로 매달 76만원씩 받아도 건강이 나빠서 20만원씩 병원비로 나가는 사람이 많다. 보험이 안되는 진료가 많이 않느냐”며 “병원이 없어지면 수급자들의 없는 인생은 반복될 것”이라고 푸념했다.

요셉의원은 정부기관이나 지자체의 지원 없이 기부금과 자원봉사로 운영되고 있는 자선의료기관이다. 이곳의 의료진들은 병원비 때문에 일반병원에 갈 수 없는 환자를 매달 1400~1600명씩 무료로 치료하면서 서울 서남권의 의료 공백을 막아왔다. 이 병원은 지역 재개발이 확정되면서 최근 서울역 인근으로 이전이 확정됐다. 병원 측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의 치료 중단을 막고자 영등포쪽방상담소에 중증환자 정보를 인계하고 단골환자들에게 두 달 치 약 처방과 함께 새로운 장소로 오는 법을 안내하고 있다. 하지만 쪽방촌에는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의 비율이 높고 방문진료를 할 수 있는 인원은 적어서 의료 사각지대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방문진료를 도맡고 있는 김경미 요셉의원 간호사는 “쪽방은 내부 온도가 40도 가까이 되는 날이 많은데 여기 계신 분들은 대부분 고령에 영양상태가 안 좋아서 온열질환에 더 약하다”고 말했다. 김 간호사는 “옆에서 챙겨줄 사람이 없어서 온열질환인 줄 모르는 경우가 있다”며 “답답하니까 밖에서 자는 분들이 많은데 찾아가도 못 만나는 날이 많고 밖에서 환자를 발견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오후 무렵 쪽방촌 골목에는 종이상자를 깔고 눕거나 앉아서 잠을 청하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주민 4명은 도로에 물을 뿌리는 기계에서 시원한 물이 나오기를 기다리기도 했다.

방문진료에 대해 영등포쪽방상담소 관계자는 “간호사 1명이 건강취약계층과 돌봄관리대상자 66명을 담당하고 있다”며 “서울시 지원으로 사회복지사 4명도 매일 쪽방촌을 방문하면서 건강이 나빠진 사례를 간호사에게 얘기하고 있다. 직원 수가 더 늘어나면 좋은 게 사실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고영초 요셉의원 원장은 “방문 진료로는 온열질환자를 다 돌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고 원장은 “병원 문턱이 많이 낮아지긴 했지만 쪽방 주민이나 노숙하는 분들은 여전히 병원에 들어가기 어렵다”며 “지자체에서 진정으로 이 사람들을 도우려면 쿨링포그 같은 장비를 설치하는 것뿐 아니라 알코올 중독이나 병원비 때문에 일반 병원에 못 가는 환자들이 가까운 병원에 갈 수 있도록 지원할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