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교원 임금 인상하라...교사도 공무원보수위에 참여해야"

사회

뉴스1,

2025년 7월 14일, 오후 01:02

전교조 임금 인상 촉구 서명 결과 발표 기자회견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교원 임금 인상과 공무원보수위원회의 실질적 임금 협상 기구화를 촉구했다.

전교조는 1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임금 인상 촉구 서명 결과 발표 전교조 기자회견'을 열고 "실질임금 보전과 민간 수준 회복을 위한 6.6% 인상은 교사 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요구"라고 주장했다.

전교조에 따르면 전국의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원 9만 2730명이 교원 임금 인상과 각종 수당 현실화를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참여했다.

전교조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교사의 임금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생계 문제가 아니다"라며 "그것은 교사의 전문성과 책무성, 교육의 지속 가능성, 나아가 공교육의 신뢰를 지키기 위한 국가적 과제"라고 말했다. 이들은 또 "교사가 안정적인 조건에서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어야 교육의 질도 함께 높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저연차 교사에 대한 임금 인상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지희 전교조 부위원장은 "현장에서는 많은 실질적 책임과 업무가 저연차 교사에게도 동일하게, 때로는 더 많이 주어지고 있고 저연차 교사들은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정과 책임, 희생으로 많은 것을 감당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그 책임을 감당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는 처우는 아직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이 상황은 저연차 교사들이 자기 직업에 대한 자부심은 얻지 못한 채 전문직으로서 교사로 성장하기 어렵게 만든다"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돌아가고 결국 사회 전체가 그 대가를 치르게 된다"고 말했다.

이들은 교사들의 임금과 수당을 결정하는 '공무원보수위원회'에 교사를 대표하는 위원이 없다는 사실도 비판했다.

김원배 전교조 정책국장은 "공무원보수위원회에는 50만 명에 달하는 교사를 대표하는 위원이 단 한 명도 포함돼 있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공무원보수위원회를 단순한 자문기구가 아니라, 법으로 보장된 실질적 임금 협상 기구로 바꿔야 한다"며 "거기에 반드시 교원을 대표하는 위원이 참여하도록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ksy@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