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14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우려를 밝혔다.
이재명 정부는 공공의대와 지역의대 설립을 보건의료 관련 핵심 공약으로 발표했다.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전 정부와 같이 의대정원 확대 관련 이슈로 또다시 의료계와 충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본 것이다.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회원들이 의료공백 피해 당사자인 환자들의 목소리를 내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의료현장과 교육현장을 떠났던 의대생이 복귀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서는 의대생,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을 환영하면서도 이들이 자발적으로 떠난 만큼 조건 없이 돌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자발적 의사에 따라 사직·휴학했다고 주장하면서 1년 5개월 동안 의료와 교육 현장을 떠난 전공의와 의대생은 조건 없이 복귀해야 한다”며 “정부와 국회는 복귀한 전공의와 의대생에게 특혜성 조치를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자발적으로 환자를 위해 돌아온 게 아니라 끝까지 복귀하지 않다가 정부의 특혜성 조치에 기대 돌아온 전공의·의대생이 더 우대받는다면 이는 정의와 상식에 반한다”며 “복귀는 조건 없이 자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환자단체는 ‘필수의료 공백 방지법’ 제정도 촉구했다. 안 대표는 “의료는 특권이 아니고, 환자 없는 의료는 존재할 수 없다”며 “새 정부는 ‘환자 중심 의료개혁’을 반드시 실현하고, 의정 갈등 피해 당사자인 환자에게도 제도적, 입법적 의견을 전달할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