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이 15일 서울시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교육청)
AIDT는 아직 교과서 지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교육자료 격하가 불가피하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AIDT의 지위를 교육자료로 낮추는 초·중등교육법 일부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오는 23일 본회의에서도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교과서는 모든 학교가 의무로 써야 하지만 교육자료는 학교마다 자율적으로 채택할 수 있다.
정 교육감은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위해 연구해 만든 자료도 활용해야 하고, 이미 투자·개발된 (AIDT) 학습 자료도 학교 선택에 따라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며 “1학기가 끝나면 학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AIDT의 효과와 어려움을 얘기해보는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고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일선 학교의 2학기 AIDT 신청은 받지 않은 상태다. AIDT의 지위 변경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상수 서울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은 “AIDT 교과서 관련 정책 결정이 아직 명확하지 않아서 2학기 신청을 받지는 않았다”며 “AIDT가 교육자료로 바뀌면 교육부와 관련 내용을 협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 교육감은 대법원이 서울 초·중·고교생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기초학력진단검사 결과를 공개하라고 판결한 데 대해서는 “판결을 존중한다”면서도 “학교나 지역 간 직접적인 비교는 교사나 학생들의 노력을 무산시킬 수 있어 이런 방향으로 가선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소한의 중요한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는 제공하되 직접적 비교는 피할 수 있도록 적정선을 고민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정 교육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여러 현안 설명과 함께 새 정부에 제안하는 5대 핵심 정책 과제도 제시했다. △기초학력 보장 △교육활동 보호 △학생 마음 건강 지원 △AI 교육과 수학·과학·융합교육 △농촌 유학 활성화 등이다.
정 교육감은 기초학력이 낮은 학생을 지원하는 ‘서울학습진단성장센터’를 연내 7곳에 추가 신설해 서울 전역에서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보장하겠다는 방침이다.
또 오는 9월부터는 초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관계회복 숙려제’를 시범 운영한다. 평화적인 학교폭력 대응 모델로, 당사자 학생 간 화해를 위해 조율하는 제도다.
이밖에 AI 교육의 공교육 적용 모델을 선도하는 일환으로 ‘AI 교육센터’를 신설하고 지난 2021년 시작한 농촌 유학 지역을 기존 강원도, 전남, 전북에 이어 2학기 제주도로 확대한다.
정 교육감은 “이러한 과제는 시교육청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이룰 수 없다”며 “서울교육공동체 전체와 시민사회, 정치권, 중앙정부가 힘을 모아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