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논문 가로채기 의혹 사실 아냐…제1저자 당연”

사회

이데일리,

2025년 7월 16일, 오후 01:34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논문에 제자 이름을 빼고 제 이름만 넣은 적은 없다”며 ‘제자 학위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해명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 후보자는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논문을 작성하면서 제자 이름을 빼고 교수 이름만 넣는 건 문제이지 않느냐’는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 후보자는 “논문을 작성할 때 이공계는 공동연구자끼리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진다”며 “이공계는 보통 지도교수가 수주한 국가과제나 연구과제로 수행을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가과제와 연구과제를 같이 학생들과 같이 수행하는데, 학생들은 그 안에서 세부과제를 진행하다가 학위논문으로 발전시킨다”며 “지도교수와 대학원생의 기여도를 고려해 제1저자를 기재해야 한다는 게 연구재단 지침”이라고 했다.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도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본인을 제1저자로 기재하는 건 욕심이면서 연구윤리에도 맞지 않고 학생들 학위도 취소돼야 하는 것 아니냐는 문제제기까지 가능하다”고 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연구를 기획하고 모든 실험환경을 조성하고 방법론을 모두 계획한 뒤, 실험하는 구체적 내용들은 제자들이 손발이 돼서 도와주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교수가 제1저자가 되는 건 너무 당연했다”고 부연했다.

이 후보자는 카피킬러에서 집계된 표절률만으로는 실제 표절했다고 단정짓기 어렵다고도 반박했다. 이 후보자는 “총장 임용 당시 2007년 이후 논문 100편을 전문가가 검증해서 10% 이하로 판정됐다”며 “여러 언론에서 2007년 이전 논문이 나왔길래 저도 돌려봤는데 10%를 겨우 넘는 표절률이 나왔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전문가가 하나씩 다 제외해가며 봐야 진정한 표절률이 나온다”고도 했다.

또 “제가 실수를 했다면 윤리기준에 속하지 않는 오탈자를 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