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단전·단수 의혹' 이상민·소방청·행안부 등 7곳 압색(종합)

사회

뉴스1,

2025년 7월 17일, 오전 10:48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장관이 지난 2월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2차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을 거부하고 있다./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조은석 특별검사)이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소방청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섰다.

특검팀은 17일 오전부터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이 전 장관 주거지, 소방청, 행정안전부 서울청사 등 7개 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MBC, JTBC, 여론조사 꽃의 단전·단수 지시를 받고 소방청장에게 전화해 "경찰로부터 단전·단수 협조 요청이 오면 조치하라"고 지시한 혐의를 받는다.

이 전 장관은 혐의를 적극 부인하고 있다. 그는 '단전·단수'가 적힌 쪽지를 받은 적이 없고, 윤 전 대통령을 만류하려고 집무실에 들어갔을 때 멀리서 얼핏 봤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특검팀이 확보한 폐쇄회로(CC)TV 영상에선 이 전 장관이 대통령실 대접견실 테이블 위에 있는 문건을 들고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또 허석곤 소방청장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당시 (이 전 장관) 전화를 받았다"며 "몇 군데 언론사를 말하면서 경찰청에서 (단전·단수) 요청이 오면 협조했으면 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는 당일 오후 10시 17분부터 10시 22분까지 대통령실 대접견실에서 정식 국무회의가 아닌 '간담회 형식'으로 진행됐다. 한 전 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 전 장관은 모두 이 자리에서 계엄에 대해 반대나 우려 입장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내란 방조 혐의 등을 받는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해제 당일인 지난해 12월 4일 삼청동 안전 가옥(가옥)에서 김주현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완규 전 법제처장 등과 회동해 2차 계엄 또는 비상계엄 사후 대책 등 계엄 수습 방안을 모의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받고 있다.

내란 특검은 이 밖에 경찰 압수수색 과정 중 이 전 장관의 자택에서 현금다발이 발견됐다는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다.

이 전 장관 측은 '당시 압수수색 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인지하지 못했으며 가방 안에 들어 있었다는 현금액도 언론 보도로 알려진 액수와는 다르다'며 사실무근임을 주장했다.

ddakbom@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