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오전 질의를 마친 후 청문회장을 나서고 있다. 2025.7.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됐지만, 학계에서도 계속 문제를 제기하는 논문 표절 의혹과 미흡한 교육 정책·현안 숙지 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여야 간 이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 채택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이번 주 주말쯤 이 후보자의 사퇴 여부가 판가름 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불거진 논란을 타파하고 이 후보자가 교육부 수장에 오를지 관심이 주목된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한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단체로 구성된 '범학계 국민검증단'(검증단)은 오는 21일 이 후보자 논문 표절 관련 2차 검증 결과를 발표한다.
김건희 여사의 논문 표절 여부를 검증했던 검증단은 경남민주교수연대, 광주전남교수연구자연합, 대학정책연구소, 대학정책학회, 사회대개혁지식네트워크, 전국교권수호교수모임, 전국사학민주화교수노동조합, 전국사학민주화교수연대, 한국교수노동조합연맹, 한국교수협회, (사)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연구자 단체로 구성돼있다.
검증단은 앞서 14일에도 이 후보자의 논문을 검증한 결과를 발표, 일부 논문에서 표절률이 50%가 넘는다며 자진 사퇴를 요구한 바 있다.
이 후보자가 청문회에서 검증단이 의혹을 제기한 논문 표절 의혹 등에 대해 해명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음에도 사퇴 요구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그는 청문회에서 해당 의혹들이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며 "결코 부끄러운 부정행위를 하지 않았다"고 강력 반박했다.
이 후보자는 "대부분의 연구가 학생이 학위 논문을 쓰기 전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를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한 연구"라며 "제가 제1 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논문 연구 초반부는 기획이나 모든 진행을 제가 주도했기 때문에 제자에게 제1 저자를 주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고 판단했었다"며 "제1 저자든 교신저자든 혜택에 어떤 차이도 없지만 교육의 차원, 공정의 차원에서 그렇게(1 저자로 나를 등재) 했었다"고 했다.
논문 의혹뿐만 아니라 교육 정책과 현안에 대한 이해도 부족 논란도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이 후보자가 '초·중·고등학교 법정수업일수가 며칠인지 아시나'라는 질문에 "정확히 모르겠다"고 답하는 등 고등 교육 외 유·초·중등 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부족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 후보자가 청문회에서 각종 교육 현안질의에 대해 제대로 답변을 하지 못하자 여당 내에서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대통령실은 주말 내 논란이 불거진 이 후보자를 포함한 장관 후보자들의 사퇴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전날 야당은 물론 여당 일각과 친여 단체에서 임명 불가론이 제기된 강선우 여성가족부·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관련, "오늘 청문회가 (모두) 끝나면 내일쯤이나 (대통령에게) 종합 보고를 드리게 돼 있다"고 말했다.
우 수석은 이 후보자 등 논란이 된 후보자들에 대한 지명철회 또는 자진사퇴 등 거취 문제가 주말 중에 결론이 나는지를 묻자 "그렇다"며 "인사권자인 대통령 입장에선 모든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다 끝날 때까지 주의 깊게 지켜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rea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