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 무더위에 휘청... '빙판길보다 더 위험한 여름'

사회

이데일리,

2025년 8월 19일, 오후 03:15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무더위가 노인들의 균형 감각을 무너뜨리며 낙상 위험을 높이고 있다. 흔히 노인 낙상 사고는 빙판길이 많은 겨울철에 집중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여름에도 빈번하다.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2020년 ~ 2024년 고령자 위해정보 동향 분석’ 에 따르면, 고령자 낙상 사고 접수 건수는 여름 가을, 겨울, 봄 순으로 많았다. 더위로 인한 탈수, 어지럼증, 근력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고령층은 골밀도가 낮고 반사 신경이 둔해 부상 위험이 커진다. 낙상은 단순한 찰과상과 멍이 아닌 골절과 후유 장애, 장기 요양, 심지어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윤형조 진료부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여름철 고온 환경은 노인 생체 리듬과 항상성을 깨뜨려 낙상 위험을 크게 높인다”며“더위로 인한 활동량 감소는 근육 위축을 가속화해 하체 지지력을 약화시키는 악순환을 만든다”고 경고했다.

◇ 여름철 낙상, 탈수·근력 저하·만성질환이 원인

여름철 노인 낙상은 단순 부주의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무더위로 땀을 많이 흘리면 몸의 수분량이 급격히 줄어들며 탈수가 발생한다. 노인은 젊은 사람에 비해 갈증을 덜 느끼고 체내 수분량이 적어 탈수에 취약하다. 탈수 상태에서는 혈액량이 감소해 혈압이 낮아지고, 앉았다 일어설 때 순간 어지럼증을 느끼는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나기 쉽다. 이때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 있다. 또한 땀으로 배출된 전해질(나트륨, 칼륨 등) 부족은 근육 경련과 힘 빠짐 현상을 유발해 낙상 위험은 커진다.

근력 저하도 낙상 원인이 된다. 고령으로 근감소증과 여름철 활동량 감소로 하체 근력이 약화되어 보행 안정성이 떨어지고, 반응 속도도 늦어져 낙상 사고가 우려될 수 있다. 또한 당뇨병, 파킨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도 낙상 위험을 높인다. 만성질환으로 복용하는 일부 약물은 어지럼증, 졸음, 피로감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탈수로 약물 농도가 높아져 부작용이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약물 복용 후 몸이 평소와 다르다고 느껴지면 반드시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여 복용량이나 종류를 조절해야 한다.

윤형조 진료부원장은 “노인은 대개 골다공증을 동반하고 있어 낙상하면 작은 충격에도 뼈가 쉽게 부러져 장기간 침상 생활이 이어진다”며“욕창, 혈전증 등 합병증 발생 우려가 크고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면서 삶의 질은 급격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낙상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주거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욕실과 주방에 미끄럼 방지 매트를 설치하고 손잡이나 안전바를 부탁한다. 통행에 방해되는 물건과 전선은 정리하고, 문턱이나 계단 등 낙상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눈에 잘 띄는 색상의 테이프를 붙여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이 좋다. 보행할 때는 지팡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낙상은 주로 어지럼증을 동반해 사고가 날 수 있어서 무더운 날씨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앉았다 일어설 때는 천천히 움직여야 한다. 특히 꾸준한 근력 운동은 낙상 예방의 핵심이다. 에어컨이 있는 시원한 실내에서 스트레칭, 맨손 체조, 벽 짚고 서기, 한발로 서기, 스쿼트 등 균형 감각을 키우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면 혈압, 혈당을 체크하고 본인에게 맞는 질환 관리 계획을 세워야 한다. 혈압약과 수면제 등은 복용 후 어지럼증과 졸음을 유발할 수 있어서 전문의 상담으로 약물 복용 시간을 활동량이 적은 시간대로 조정 한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