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사 직원입니다"…'노쇼 사기' 기승에 자영업자들 한숨(종합)

사회

뉴스1,

2025년 8월 19일, 오후 03:44

챗GPT를 활용해 생성한 노쇼 사기 이미지
"XXX 방송사 직원인데요. 식당 예약을 하려고요"

지난 12일 서울 마포구. A 씨가 운영하는 고깃집으로 15명 단체 예약 전화가 걸려 왔다. 장사가 부진해 속을 태우던 A 씨에게는 폭염 속 단비 같은 소식이었다.

예약자의 신원도 믿을 만해 보였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알 법한 유명 방송사 직원이라고 자신을 소개했기 때문이다.

예약자는 식당 예약뿐만 아니라 A 씨에게 고급 양주를 미리 준비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피디님이 고급 양주를 좋아하시는데, 영수증에는 주류가 찍히지 않게 해주시면 주류 반입비와 부가세를 법인카드로 결제하겠다"는 말로 안심까지 시켰다. 이어 특정 주류 판매점 명함을 보내며 그곳에서 구매하라며 전화번호를 전달했다.

의심을 덜기 위해 예약자는 방송사 명함과 주민등록증까지 제시했다. 이를 믿은 A 씨는 양주 3병을 구입했다.

그러나 A 씨가 주류 구매를 위해 업체에 돈을 입금한 이후 예약자와 연락이 닿지 않았다. 그제야 A 씨는 사기를 당했음을 깨달았다. 피해액은 약 1000만 원에 달했다. 그는 지난 13일 서울 마포경찰서에 피해 사실을 알렸고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다.

이처럼 유명 단체나 인물을 사칭하는 '노쇼(No-show)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자영업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9일 오후 서울 종로경찰서에는 노쇼 사기에 당해 1100만 원 상당의 와인을 구매한 60대 여성이 고소장을 제출하러 방문했다.

외국인들이 자주 찾는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다는 이 여성은 "전화가 와서 자기네 하는 데서 와인을 시켜달라고 해서 돈을 줬다"며 씁쓸해 했다.

지난 6월에는 서울 용산구 갈월동의 한 음식점 업주가 "대통령경호처 관계자라며 대통령 저녁 식사를 예약하고 싶다는 전화를 받았다"는 신고를 경찰에 접수했다.

또 경남 합천군의 한 식당에서는 지난 5월 영화 촬영팀이라고 소개한 남성이 20명 예약을 하며 와인을 준비해 달라고 요구했으나, 주류 반입 불가를 이유로 업주가 거절해 피해를 피한 사례도 있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노쇼 사기는 급증했다. 경찰에 따르면 1~6월 발생한 사건은 1957건, 피해액은 250억 원에 달했다.

지난 1~5월에는 1169건(피해액 146억 원)이었으나, 6월 한 달에만 788건(피해액 104억 원)이 보고됐다.

경찰은 최근 노쇼 사기가 주로 대량 주문을 미끼로 피해자에게 취급하지 않는 물품을 대신 구매하도록 요구한 뒤 잠적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량 예약이나 주문이 들어올 경우 반드시 해당 기관이나 단체에 직접 확인해야 한다며 특히 취급하지 않는 물품을 대신 구매해 달라는 요구는 전형적인 사기 수법이므로 즉시 거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ej86@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