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을 충돌했다. 사진은 사고 현장에서 소방 당국이 인명 구조를 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19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최근 충북대학교산학협력단과 ‘대형재난·사고에 투입된 과학수사관의 심리적 응급처치 프로토콜 연구’ 정책연구용역을 체결했다.
대형재난·사고 현장에 출동한 과학수사관의 PTSD 발생 가능성을 진단하고 사후 평가 및 치유 방안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과학수사관은 각종 범죄·재난 현장에 빈번히 출동하는 업무 특성상 PTSD에 노출되는 경우가 잦다. 2023년 한국과학수사학회에 게재된 김보라·김해숙 호남대 상담심리학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수사관 411명 중 90명인 21.9%가 PTSD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엔 과학수사관들이 대형재난·사고 현장에 출동해 희생자 신원확인 등 업무를 수행하면서 이들의 PTSD를 관리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생기기도 했다.
특히 지난해 12월 29일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와 같은 매우 큰 대형재난에서 과학수사관의 PTSD 위험 문제가 제기됐다. 당시 동체 손상이 폭발하며 시신의 상태가 참혹해 신원 확인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시도청 과학수사관 168명이 동원됐다.
경찰청은 당시 현장에 투입된 과학수사관을 대상으로 긴급 심리 지원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경찰은 심리 지원뿐만 아니라 과학수사관의 PTSD 방지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경찰은 제주공항 참사 등 대형재난·사고 현장에 출동한 과학수사관을 대상으로 PTSD 실태를 파악하고 PTSD 정도와 유발 요인을 파악할 계획이다.
이후 조사 결과를 통해 현 과학수사관 지원 체계와 경찰의 자체 대응 방식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고, 향후 대응 전략을 짤 계획이다.
특히 K-DVI(한국형 재난 희생자 신원 확인) 절차에 대해 전반적으로 분석한다. K-DVI는 △현장조사 △생전자료조사 △사후자료조사 △조정 등 단계로 구분되는데 시신 수습과 신원확인, 검시 등이 현장조사에 포함된다. 경찰은 K-DVI 절차에 따른 단계별 활동이 과학수사관에게 주는 심리적 영향을 분석해 향후 대형재난·사고에 투입되는 과학수사관의 PTSD 위험도를 줄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K-DVI 절차에 과학수사관의 PTSD에 대한 심리적 응급 처치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심리지원 제도도 신설할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대규모 재난·사고 현장에서 소임을 다한 과학수사관이 심리적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함”이라며 “과학수사관의 PTSD 위험도 감소 정책을 즉시, 단기, 중장기 등으로 구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언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