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서울 강서구 마곡동 코오롱 원앤온리타워에서 환경재단이 교육부·환경부와 함께 한 중·고등학생 청소년 대상 '제2회 기후수학능력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2025.8.30/뉴스1
"딩동댕" 알람이 울리자 시험지가 일제히 넘겨졌다. 학생들은 컴퓨터용 사인펜을 꽉 움켜쥐고, 누군가는 턱을 긁으며 긴장을 달랬다. 어떤 학생의 다리는 책상 밑에서 떨리고 있었다. 교실 안에는 시험지를 넘기는 바스락 소리와 답안지 칸을 채우는 사각거림만이 남았다. "경이로움과 겸양이야말로 건전한 감정이고, 결코 파괴의 욕구와 나란히 공존할 수 없다"는 문구로 시작한 기후수능 문항은 국어나 영어, 수학 등 기존 과목과는 판이하였으나 교실을 감싼 긴장감은 매한가지였다.
네덜란드 우르헨다 재단은 세계 최초로 (A)에서 승소했고, 우리나라에서도 첫 (A)가 이뤄졌으며, 헌법재판소는 온실가스를 줄이겠다는 현행 탄소중립법이 헌법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정답은 '기후 소송'.
30일 서울 강서구 마곡동 코오롱 원앤온리타워에서 열린 제2회 기후수능에 참가한 중·고등학생 81명이 마주한 40개 문항 중 하나다.
기후수능은 점수를 매기는 시험을 넘어 공교육의 빈틈을 메우려는 실험이자, 청소년을 기후 시민으로 키우려는 시도로, 환경재단이 지난해 어린이환경센터 창립 12주년을 맞이해 환경부·교육부와 함께 개최됐다.
정답을 맞히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기후변화 당사자인 미래세대가 기후위기를 '나의 문제'로 느끼고 미래 세대가 어떤 선택을 할지 고민하게 만드는 장치다. 최기영 어린이환경센터 이사장은 "지난달 폭우로 사망 26명, 폭염 사망 19명, 온열질환자 3200명 이상, 가축 폐사 145만 마리"라며 "기후 수능은 정답을 맞히는 시험이 아니라 어떤 세상을 살아가고 싶은지 스스로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스스로 지원해 '기후 수험생'이 된 학생들 각오는 대단했다. 경기 성남에서 온 박예음양(이우고 2)은 "평소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았다. 지구과학 교과서를 많이 읽었고 환경 관련 시설도 알아봤다. 기후 문제와 관련한 뉴스도 열심히 챙겨봤다. 좋은 성적 거두고 싶다"고 말했다. 진송연양(이우고 1)은 "가족 모두 환경 보호에 관심이 많다. 수능까지는 아직 시간이 있지만 벌써 기후수능을 치르게 돼 약간 떨린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더 관심을 쏟는 계기로 삼고 싶다"고 했다.

30일 서울 강서구 마곡동 코오롱 원앤온리타워에서 환경재단이 개최한 제2회 기후 수능에서 수험생이 시험지 파본 여부 등을 살피고 있다. © 뉴스1
'기후 수능'을 기후 관심의 첫걸음으로 선택한 학생도 있다. 대전에서 온 고등학교 2학년 A군은 "기후 문제가 심각하다고는 생각 안 했는데, 친구가 열사병으로 쓰러질 뻔한 걸 보고 폭염과 기후변화가 연결돼 있다는 걸 느꼈다"며 "이번 시험을 계기로 더 알아가겠다"고 전했다.
출제 범위는 학교 교실에서 배우는 교과 지식의 안팎이 모두 포함됐다. 기후 난민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열대야와 같은 현실적 주제는 물론, SNS 게시물과 AI 챗봇 대화, 환경 신문기사까지 문제 자료로 등장했다. 단순 암기가 아니라 종합적 해석과 비판적 사고를 요구했다.
환경 과목이 중학교에서 7.9%, 고등학교에서 31.7%만 개설돼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학생들이 공교육에서 접하지 못한 문제에 처음 마주한 셈이었다.
"기후위기는 교과서 속 지식이 아니라 지금 우리 삶과 맞닿은 현실"이라며 학생들을 격려했다.
시험지는 표지도 메시지를 품었다. 지난해 제1회 기후수능은 레이철 카슨의 '침묵의 봄' 속 '참여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면, 알아야 하는 것은 우리의 권리다'라는 문장을 인용했다. 올해는 같은 저자의 '잃어버린 숲'에서 가져온 '겸양과 경이로움'이라는 문구가 담겼다. 권리와 참여에서 태도와 윤리로, 기후수능의 질문이 확장했다.
이날 시험 전체 평균은 69.8점, 지난해 평균(63점)보다 6.8점 상승했다. 1등은 박종서군(흥덕중 1)과 손지안양(이매중 2), 고유빈양(상현중 3)이 공동으로 차지했다.
기후 수능은 학생들의 꿈과 진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해 우승자인 진세연양(이우고 3)은 올해 강연에서 '기후대응 정책 연구자'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ac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