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 (사진=연합뉴스)
경찰에 따르면 2021년 이후 감소하던 보이스피싱 범죄는 2024년부터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지난해 보이스피싱 범죄는 2만839건 발생해 2021년(7794건)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또 올해 1~7월 피싱 범죄 피해액은 7992억 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며 등 피싱 범죄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투자리딩방, 연애빙자사기(로맨스스캠), 노쇼사기 등 신종사기도 범죄 유형으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다.
올해 상반기 투자리딩방은 3369건(피해액 2809억원), 로맨스스캠은 957건(613억원), 노쇼사기는 1957건(250억원) 발생했다.
이에 정부는 관계기관 간 긴밀한 연계·협력이 가능한 137명 규모의 ‘범정부 통합대응단’을 경찰청에 설치한다.
관계기관 합동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실시간 범행 차단·예방체계도 도입한다. 또 전 시도경찰청에 총 400명 규모의 수사인력을 증원하며 전담수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경찰은 범정부 대책의 첫 후속 조치로 5개월간 수사역량을 집중해 강력한 단속에 나선다.
△국내외 피싱 범죄조직 △자금세탁 △각종 범행수단 생성·유통 등 피싱 범죄 관련 모든 불법행위를 단속대상에 포함한다.
수사 외 △피해 예방·차단 △홍보·지원 등 범죄 근절 활동 등 분야별 포상을 통해 추진동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단속 과정에서 발견된 각종 범행수단은 관계부처와 협업해 신속하게 차단하는 한편 범죄수익도 끝까지 추적해 환수한다.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최근 피싱 범죄는 교묘한 신종수법을 사용해 피해자들에게 접근하고, 피해자들이 다시 딛고 일어설 힘과 의지까지 뺏어가는 조직적·악성 범죄다”며 “피싱 범죄로 인해 국민의 재산과 안전까지 위협받고 있는 만큼 범죄 근절을 위해 경찰의 모든 수사역량을 집중해 강력하게 단속하고, 국민의 일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7월 신고보상금을 최대 5억 원까지 대폭 상향했다”며 “국민 여러분의 용기 있는 신고와 제보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