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교육청 전경. (사진=서울시교육청)
세 기관은 이번 협약으로 △국제사회 AI 윤리 현안 관련 공동 과제 발굴 △서울형 AI 윤리 인덱스 개발 △국내외 포럼·행사 공동 개최 등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학생과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책임 있는 AI 활용 기준을 제시하고 국제사회 논의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이미 초·중·고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AI 윤리 교육자료를 개발·보급해왔다. 다음달 초 고등학교용 자료가 보급되면 학교급별 AI 윤리교육 체계를 완성하게 된다.
시교육청은 더 나아가 학생과 교사, 가정이 함께 참여하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초·중·고 교육과정에 맞춘 디지털 시민성 교육자료 42종을 개발·보급한다. △미디어 균형과 웰빙 △프라이버시와 보안 △디지털 발자국과 정체성 △사이버폭력·혐오표현 대응 △뉴스·미디어 리터러시 등 6대 영역을 포함한다. 모든 자료에는 ‘가정용 지도자료’를 포함해 학생이 학교에서 배운 디지털 시민성 가치를 가정에서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학생들이 디지털과 현실을 넘나들며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장기적 관점에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