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보수단체 민초결사대는 서울 여의도 샛강역 1번출구에서 국민은행 서관까지 ‘중국인 무비자 입국 반대’ 도보 행진을 이어갔다. (사진=김윤정 기자)
단체는 본격적인 행진에 앞서 약 10분간 집회를 진행했다. 집회 시작 직전 주최 측은 참가자들에게 ‘천멸중공(天滅中共, 하늘이 중국 공산당을 멸할 것이라는 뜻)·CHINA OUT’ 문구가 적힌 손팻말을 나눠줬다. 시위대 선두에는 거꾸로 달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사진, 대형 성조기와 태극기, 그리고 ‘천멸중공’ 문구가 새겨진 깃발을 든 참가자들이 섰다.
집회 발언에서 시위 주최 측은 “우리 시위는 혐중이 아니라 중국 공산당이 무력이 아닌 매수·갈라치기를 통해 한국을 분열시키려는 시도로부터 한국을 지키려는 정당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최근 발생한 대전 데이터관리원 화재에 대해서도 “중국인 무비자 입국 허용 직후 화재가 발생한 점이 수상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화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북한 해커의 방화일 수 있다”며 “민주당이 주장하는 특검을 이번 사건에도 적용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 발언 직후 참가자들 사이에서는 ‘맞다’는 탄성이 터져 나왔다.
10분여 발언이 끝나고 참가자들은 여의도 직장가를 지나치는 도보행진을 이어갔다. 발걸음을 멈추고 시위대를 바라보던 일부 시민은 눈살을 찌푸렸다. 김모(50)씨는 “명색이 다른 나라 국가 원수인데 얼굴을 대문짝만 하게 프린팅해 조롱하듯 시위하는 건 국제적 망신”이라며 “이건 반중이 아니라 혐오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인근에서 자영업을 하는 강모(40)씨도 “유동 인구가 많은 한복판에서 소음과 구호가 이어지니 장사하는 사람들만 피해를 본다”며 “의견을 내더라도 방식은 달라야 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들은 중국 대사관이 있는 서울 명동에서 주로 집회를 하던 이들이다. 명동 골목 일대를 누비면서 중국 혐오 발언을 하다 상인들의 요청으로 제한 통고를 받기도 했다. 정부가 이들에 대한 제재 조치를 하자 중국인들이 많이 체류하는 대림동으로 장소를 옮겼기도 했다. 이어 중국인 무비자 관광이 혀용된 이후엔 홍대 등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곳에서 집회를 이어가는 상황이다. 여기에 대표 업무지역인 여의도까지 누비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관광객과 유학생 등의 불안감이 커지자 정부가 경찰의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하기도 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지난 10일 국가경찰위원회에 ‘경찰의 적극적인 법 집행 방안’ 안건을 부의했다. 윤 장관은 “혐오 집회·시위가 특정 국가 국민뿐 아니라 외국인 커뮤니티 전반에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다”며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사회적 안전과 더불어 국가 간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찰은 혐오 집회·시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