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보건복지부에 대한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오경석(오른쪽) 두나무 대표가 참고인으로 출석해 답변하고 있다.(국회방송 갈무리)
그동안 메디스태프는 의·정사태 기간 집단행동에 불참한 전공의 등을 비방하고 신상정보를 유포한 ‘의료계 블랙리스트’ 사태를 방조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날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의정 갈등 장기화로 상급종합병원 수술이 17% 감소하고, 지난해 2월부터 7월까지 초과 사망자가 3136명 발생했다”며 “전시 상황도 아닌데 이런 의료 공백이 발생한 배경에는 전공의 복귀를 막는 온라인 선동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메디스태프에서는 ‘복귀하면 성폭행하겠다’는 협박성 글이나, 항공기 참사로 어머니를 잃은 의대생을 조롱하는 악의적 게시물이 올라왔다”며 “운영진이 이를 방조하고 익명성을 강화해 가해 행위를 묵인했다”고 비판했다.
한 의원은 메디스태프에 투자한 두나무를 향해 “의료계 블랙스트를 방조하고 운영진 검찰 송치된 사실을 알고 투자했나”라며 “윤리경영과 ESG를 표방하면서 이런 플랫폼에 투자하는 것이 사회적 책임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에 국정감사에 출석한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 대략 검토는 했었다”면서 “투자 검토 과정에서 미흡한 점이 있었던 것 같다. 윤리적 측면에서 부족함이 있었다는 지적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한 의원은 “두나무는 돈이라는 목적을 위해 과정의 윤리를 외면했다”며 “메디스태프 대표가 이미 검찰에 송치된 상황에서 투자 적절성 평가와 후속 조치 계획을 종합감사 전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오 대표는 “요청하신 자료를 의원실에 제출하겠다”고 답했다.
한 의원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을 향해 “메디스태프 운영 방식이 의정 갈등을 길게 만든 원인 중 하나라고 보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정 장관은 “악의적 온라인 활동이 의정 갈등에 악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라며 “8월 서면질의에서 말씀드린 대로 SNS 상 비방·협박 등으로 의료행위를 방해하는 행위를 차단하기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며 관계부처와 협의도 진행 중”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