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부 국정감사서 쏟아진 '석포제련소' 질타…영풍 입장은

사회

이데일리,

2025년 10월 15일, 오후 11:49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오랫동안 낙동강 수질 오염의 원인으로 꼽혀온 석포제련소가 기후에너지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이에 대해 영풍 측은 석포제련소 이전 태스크포스(TF)의 결정을 따르겠다고 밝혔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경북 봉화군 영풍 석포제련소를 방문해 환경관리 현황에 대해 듣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지난 14일 국회에서 열린 기후부 국정감사에서 김기호 영풍 대표이사가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의 폐쇄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날 국회 증인으로 출석한 김 대표는 “경북도가 운영 중인 TF에서 폐쇄든 이전이든 결론이 나온다면 그에 따르겠느냐”는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TF 결론이 그렇게 난다면, 그에 맞춰 저희가 조치해야 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석포제련소는 폐수 무단 배출과 무허가 배관설치로 조업 정지 처분을 받는 등 환경문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2014년부터 현재까지 이곳의 환경법 위반은 103건, 검찰 고발은 33건에 달했다. 조업정지도 110일에 이르는 등 상습 위반 사업장으로 분류된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석포제련소 문제는 단순한 기업의 환경관리 문제가 아니라 낙동강 수질과 국민 건강에 직결되는 국가적 사안”이라며 “이전 논의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또 “이번 국정감사에서 확인된 영풍 측의 태도 변화는 의미 있는 첫걸음”이라며 “폐쇄 검토 발언이 보여주기식으로 끝나지 않도록 기후부가 실질적인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대기, 수질, 폐기물 등 환경문제와 노동자 사망사고가 이어지는 석포제련소의 대책에 대한 질의가 이어지자 TF를 구성해 해결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 석포제련소 이전을 추진하기 위해 공무원과 수질, 대기, 토양, 지하수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TF를 꾸렸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