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반하장 캄보디아 "한국, 사기 안 당하게 교육 잘해라"

사회

이데일리,

2025년 10월 15일, 오후 08:35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감금·살인 등 강력 범죄가 잇따르는 가운데 직격탄을 맞은 캄보디아 관광업계에서는 되레 “한국 정부의 대응에 유감”이라며 “자국민을 사기에 속지 않도록 잘 교육해라”라는 입장을 표명했다.

쇠창살로 막은 1층 캄보디아 한 범죄단지 건물의 유리문. (사진=연합뉴스)
셈 속헹 캄보디아 한국관광가이드협회장은 13일(현지시간) 프놈펜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정부가 할 일은 자국민에게 온라인 사기의 전형적인 수법, 특히 고액 일자리 제안을 미끼로 한 사기, 그리고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더 잘 교육하는 것”이라 말했다.

그는 “희생자들은 대부분 불법 일자리에 지원한 사람들”이라며 “한국 정부가 (사기)범죄와 관광을 구분하지 않은 점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최근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를 기존 2단계 ‘여행자제’에서 2.5단계인 ‘특별여행주의보’로 높였다.

캄보디아 정부는 온라인 범죄에 강력 대응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같은 날 크메르타임즈에 따르면 사르 소카 캄보디아 내무장관은 최근 사이버 범죄 대응 세미나에서 “우리는 외국 범죄 네트워크에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지난 2년간 온라인 범죄에 가담한 외국인 1만5000명 이상을 추방했다”고 말했다.

이어 “사이버 범죄 퇴치는 캄보디아만의 책임이 아니라, 여러 국가들이 협력해야 하는 국제적 과제”라며 한국과 캄보디아 양국의 협력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터치 속학 캄보디아 내무부 대변인은 “우리는 피해를 입은 한국 국민들의 감정을 이해한다”면서도 “우리가 바라는 것은, 캄보디아 역시 이 범죄의 피해자였다는 점을 (한국이) 이해해 주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캄보디아 정부 주장과 달리 미국 국무부가 지난달 29일 공개한 ‘2025 인신매매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인신매매 위험도는 4년 연속 최고 수위인 3등급이다.

보고서는 “캄보디아 정부는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최소 기준을 충족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위한 중요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 이유로 범죄조직과 고위 관료 간 밀접히 연루돼있어 미흡한 정부 대응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