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19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머리가 장년(長年)층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025.2.19/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최근 정치권과 노동계를 중심으로 정년을 65세까지 확대하는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은 엇갈린 입장을 내놨다. 특히 중장년층과 청년층은 뚜렷한 시각차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은 6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정책간담회를 열고 법적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오는 2033년까지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65세까지 단계적으로 늘리겠다고 공약한 바 있으며 이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도 담겼다.
정년 연장안에 대해 시민들 사이에서는 생애소득 증대, 노인 빈곤 문제 해결 기여 등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제도의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서울 마포역 인근에서 만난 한 모 씨(76)는 "70세까지도 했으면 좋겠다. 일해보니까 65세까지도 충분히 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직장인 윤 모 씨(54)도 "찬성이다. (더) 일할 수 있으니까"라며 "직장에서는 60세에 딱 맞춰서 퇴직하는데, 요즘엔 정년이 늘어나면 좋다는 얘기가 조금 더 많은 것 같다"고 전하기도 했다.
하지만 긍정적 효과와 함께 제도의 부작용을 걱정하는 목소리들이 주를 이뤘다.
직장인 천 모 씨(28)의 경우에도 "노인 빈곤율이 높은 대한민국의 특성상 빈약한 사회보장제도의 보조적 측면으로 가능할 수 있다"면서도 "청년층에 대한 신규 고용이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우려를 드러냈다.
또 다른 직장인 이 모 씨(30) 역시 "법적 보호의 테두리가 넓어지는 것은 노동자로서 환영할 일"이라면서도 "일자리 총량이 늘어날 수 있는 방안이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청년이 새롭게 진입할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명확한 반대 의사를 표현하는 시민들도 있었다. 은퇴 후 무직 상태인 권 모 씨(59)는 "젊은 사람들을 많이 뽑아야 한다. 정년을 연장하면 그만큼 새로운 사람 일자리가 줄지 않나"라며 정년 연장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어 권 씨는 정년이 늘어나게 되면 연금 수급도 늦어지고 지하철 무료승차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나이도 높아질 것이라며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일부 시민들은 60세 이상이 되면 체력적으로도 더 이상 정규적인 일을 하는 것이 부담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내놨다. 남 모 씨(29)는 "65세까지 갈 것도 없이 60세만 되어도 생각이나 생활이 너무 다른 것 같다"라며 "일하는 것도 사실 능률이 많이 떨어진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여당인 민주당은 정년을 65세로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법안을 연내에 입법하겠다는 방침이다.
potgus@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