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26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재판에 출석해 자리하고 있다. 2025.9.26/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범인도피 의혹(일명 '런종섭 의혹')을 수사하는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이 16일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에 수용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방문 조사를 4시간여 만에 마쳤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 1시 30분부터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범인도피 등 혐의를 받는 윤 전 대통령의 2차 대면조사를 진행하고 조사 4시간 30여분 만인 오후 6시쯤 피의자 신문조서 열람과 날인까지 마무리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11일 윤 전 대통령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로 불러 조사한 바 있다.
특검팀은 이날 60여쪽 분량의 질문지를 준비하고 정현승 부장검사(사법연수원 34기·대전지검 인권보호관)와 검사, 수사관 각 1명씩 투입해 조사를 진행했다. 이날 조사는 1차 조사와 같이 영상 녹화도 이뤄졌다.
윤 전 대통령 측에선 채명성 변호사를 비롯해 변호인 총 3명이 조사에 입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조사에서 진술을 거부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2023년 말 법무부와 외교부, 국가안보실 관계자들과 공모해 수사외압 의혹 피의자인 이 전 장관을 도피시킬 목적으로 주호주대사에 임명했다는 의혹의 정점에 서 있다.
그는 이 전 장관이 국방부 장관에서 물러날 무렵인 2023년 10월 이 전 장관에게 대사 임명 문제를 직접 거론했다. 이로부터 두 달 후 이원모 전 대통령비서실 인사비서관은 외교부에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절차를 준비하라고 통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외교부는 이듬해 1월 16일 공관장 자격 심사에서 이 전 장관에 대해 '적격' 판정을 기재한 심사용지에 심사위원들의 서명만 받는 등 졸속으로 심사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당시 심사위원장을 맡은 김홍균 전 외교부 1차관은 특검 조사에서 "검증이 미진했다"고,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은 "이 전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 과정이 정상적이지 않았지만 윤 전 대통령의 뜻이라 거부하지 못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부는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반대 의견에도 불구하고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조치를 해제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박성재 법무부 장관과 심우정 전 차관은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심의가 있기 전 법무부 관계자들에게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해제를 준비하라고 지시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국가안보실은 22대 총선을 앞두고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으로 나빠진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지난해 3월 25일 열린 '방산 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를 급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은 특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방산 협력 공관장 회의 개최를 지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특검팀은 방산 협력 회의에 참석한 주요국 대사들을 조사하며 회의 개최 직전에 외교부로부터 귀국 통보를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회의에 참석한 방산업체들 역시 회의 1~2일 전에 해당 일정을 공지 받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조사 이후 의혹 관련자들을 추가로 불러 조사한 이후 이달 말 런종섭 의혹 관련자들을 재판에 넘길 전망이다.
아울러 특검팀은 순직해병 수사외압 의혹의 관련자 기소 여부를 수일 내 결정할 예정이다.
goldenseagull@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