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 설치된 성평등가족부 현판. (사진=연합뉴스)
2015년 발족한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는 정책 수혜자인 다문화가족이 직접 의견을 제시하는 자문기구다. 제7기 참여위원은 결혼이민자(15명)와 한국인 배우자(4명), 다문화자녀(1명) 등 총 20명으로 지역과 출신국가, 가족 형태를 대표하는 형태로 구성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위원들이 다문화가족 부모로서 한국에서 자녀를 키우며 겪은 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제도 개선과 지원 확대 방안을 제안한다.
지난해 발표된 전국다문화가족 실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결혼이민자의 국내 장기 거주 비율은 2021년 39.9%에서 지난해 52.6%로 50%를 넘어섰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평균 연령도 같은 기간 9.2세에서 12.1세로 높아졌다.
이에 정부는 초기 ‘정착 지원’에서 후기 ‘자립·역량 강화’ 관점으로 다문화정책 방향의 전환과 구체적 지원 방안 등을 함께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원민경 성평등부 장관은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는 다문화 정책의 실효성과 수용성 제고를 위한 기초 디딤돌”이라며 “앞으로도 정책 수요자의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하여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