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현 에너지바이오학과 교수(사진=한양대 제공)
이 교수팀은 수소 생산 효율 향상을 위한 표면 공학 전략을 제시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화학회(RSC) 학술지 ‘Energy Advances’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수소는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꼽힌다. 연소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에너지 효율을 보이기 때문이다.
수소를 생산하는 핵심 기술인 ‘수 전해’의 수소 발생 반응(HER)은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고효율 촉매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 교수팀은 이번 논문에서 전이 금속 기반 나노물질을 활용, 촉매의 효율을 최적화하는 표면 공학 전략을 포괄적으로 검토했다.
이는 표면 공학 기술이 촉매의 표면 원자 배열, 입자 경계, 표면 결함 등 핵심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촉매 활성을 제고하는 원리에 해당한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신진후속·중견연계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이승현 교수는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청정 수소 에너지로의 전환은 필수적”이라며 “이번 연구는 고효율 전극 촉매 설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엔지니어링의 혁신 과제를 상세히 검토, 향후 연구에 중요한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