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사진=이데일리 DB)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은 지난 8월부터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와 2025년 집단임금교섭을 진행했다. 그러나 양 측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 교섭이 결렬됐고 연대회의는 이달 20일과 21일, 내달 4일, 5일에 걸쳐 권역별 릴레이 파업을 진행하겠다고 예고했다. 연대회의는 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로 구성됐으며 올해 4월 기준 약 9만4000명이 가입해 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파업 상황에 원활히 대응하기 위해 상황실을 설치하고 긴급 사안 발생 등에 적시에 대응하기로 했다.
또 △학교별 탄력적으로 식단 조정과 대체식 제공 △돌봄 대체 프로그램 제공 등 당일 돌봄·교육 정상 운영 지원 △학교별 특수교육 대책 수립과 단축수업 등 탄력적 효육활동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노동조합의 단체행동권을 존중하지만 학생들의 교육활동과 건강을 보호하고 학부모 불편이 없도록 합리적인 합의점을 조속히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