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사진=서울시교육청)
또 교육청과 교육지원청, 각 학교에 파업 대책 상황실을 설치·운영해 교육활동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은 교육부, 17개 시·도교육청과 함께 연대회의와의 집단(임금)교섭에 적극 참여해왔지만 서로 입장을 좁히지 못해 교섭이 결렬됐다. 연대회의는 기본급 인상 등 임금격차 해소와 방학 중 비근무자 생계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예고한 상황이다.
연대회의는 이달 20일과 21일, 내달 4일, 5일에 걸쳐 권역별 릴레이 파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연대회의는 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로 구성됐으며 올해 4월 기준 약 9만4000명이 가입해 있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현재 노사 간 의견 차이가 있으나 교섭 타결을 위해 교육부, 시도교육청과 최선을 다해 교섭에 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