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등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총파업에 돌입한 지난해 12월 6일 부산 부산진구의 한 초등학교 식당에서 학생들이 빵, 우유 등 대체급식을 먹고 있다. (사진=뉴시스)
연대회의는 서울·인천·강원·충북·세종을 시작으로 이달 21일과 내달 4일, 5일에 걸쳐 권역별 릴레이 파업에 나선다. 연대회의는 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로 구성됐으며 올해 4월 기준 약 9만4000명이 가입해 있다.
연대회의와 교육부, 각 시·도교육청은 지난 8월부터 2025년 집단임금교섭을 진행했다. 연대회의는 △교육공무직 임금체계 개편 △기본급·명절상여금 격차해소 △방학 중 무임금 해소 △복리후생 차별 해소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교육당국은 예산 문제를 이유로 기본급 7만 2000원 인상, 명절휴가비 연 5만원 인상 등을 제시하고 다른 요구안은 대부분 수용 불가 의견을 유지했다. 이에 양 측 교섭이 결렬되면서 연대회의는 파업에 나선다고 예고한 상황이다.
이번 파업으로 급식이 중단되는 학교 학생들은 파업 당일 빵과 우유 등 대체식으로 점심 식사를 한다. 학교별로 식단을 간소화하거나 학생·학부모에게 도시락 지참을 안내하기도 했다.
늘봄교실이나 유치원 중단·단축 등으로 돌봄에도 공백이 생길 전망이다. 지난해는 전체 학교의 3.3%(201곳)가 늘봄교실을 운영하지 않았고 유치원 37곳이 파업을 진행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파업 상황에 원활히 대응하기 위해 상황실을 설치하고 긴급 사안 발생 등에 적시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또 △학교별 탄력적으로 식단 조정과 대체식 제공 △돌봄 대체 프로그램 제공 등 당일 돌봄·교육 정상 운영 지원 △학교별 특수교육 대책 수립과 단축수업 등 탄력적 효육활동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