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이 24일 오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에서 열린 '제3차 전원위원회'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왼쪽은 김용원 상임위원. 2025.2.24/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국가인권위원회 전임 인권위원장·인권위원·사무총장이 20일 안창호 인권위원장과 김용원 상임위원의 동반 사퇴를 촉구했다.
인권위 전임 인권위원장 3명과 인권위원 21명, 사무총장 4명은 이날 성명을 내고 "안 위원장은 즉각 사퇴하고, 김 상임위원은 즉각 동반 사퇴하라"고 밝혔다.
직전 인권위원장들과 인권위원 등이 현 인권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한 것은 인권위 출범 이후 초유의 사태다.
이들은 "인권위는 창설 이후 가장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며 "급기야 과장급 간부 직원들까지 실명으로 위원장 사퇴를 요구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인권위가 더 이상 정상적 인권기구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이 위기의 직접적 책임은 두 사람에게 있다. 바로 안창호 인권위원장과 김용원 상임위원"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안 위원장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왔고, 역대 인권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차별금지법 제정 노력까지 사실상 중단시킨 장본인"이라며 "김 위원은 막가파식 언행으로 인권위를 조롱거리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채 상병 사망 사건 처리에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으로 특검의 수사를 받는 초유의 사태까지 일으켰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김 위원은 마지막 희망을 가지고 인권위를 찾아온 민원인을 수사 의뢰하는가 하면 함께 일하는 인권위 직원들을 겁박했다"며 "이는 인권위원으로서 금도를 넘어도 한참 넘은 행위"라고 말했다.
이들은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두 사람이 윤석열 내란 사태 이후 윤석열의 기본권 옹호를 내세워 반역사적 결정을 주도했다는 점"이라며 "헌정질서를 파괴한 권력자에게 인권이란 미명으로 사실상 면죄부를 부여한 이 결정은 인권위 역사상 가장 큰 오점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실명으로 사퇴를 요구한 인권위 직원들의 용기 있는 행동에 지지와 연대를 보낸다"며 "인권위는 인권의 최후 보루고, 그 보루가 다시 설 수 있는 첫걸음은 인권의 가치를 스스로 훼손한 두 사람의 퇴진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인권위 내부망 자유게시판에는 안 위원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직원들의 실명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이들은 안 위원장이 윤석열 방어권 보장 안건을 의결시키고 동성애 혐오 발언 및 직원들에 대한 인권침해를 자행했다고 비판했다.
sinjenny97@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