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감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뒤 주민 614명이 서명한 공익감사 청구서를 감사원에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비대위는 이 사업 성수동 구간의 노선 결정 및 사업 추진 과정에 절차적 하자, 직권남용, 위법·부당한 행위가 있었다며 서울시와 동서울지하도로, 한국부동산원, 성동구청에 대한 감사를 요청했다.
비대위는 △주민설명회 생략 및 주민 의견수렴 배제 △가짜 노선도 사용 및 노선 길이 조작 △위법·부당한 보상 절차를 통한 직권남용 △군자IC 주변 지하 10층 개발 가능하다는 서울시의 답변 △청담IC 구간 불합리한 S자 노선과 90도 꺾인 위험 노선 등을 문제 삼고 있다.
비대위는 "2022년 5월 조작된 전략환경영향평가보고서를 근거로 수년간 주민을 기만하고, 법률이 보장한 최소한의 절차적 정당성마저 짓밟으며, 오직 민간사업자의 이익을 위해 추진된 총체적 부실 행정의 표본"이라고 주장했다.
2029년 9월을 목표로 추진 중인 동부간선도로 지하화는 현재 차량 통행시간이 50분대인 노원구 월계동-강남구 대치동 구간을 10분대로 단축하기 위한 민간투자사업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주민들이 주축인 이문산책길보존대책위원회 또한 '월릉IC 램프-A 구간'(진입로) 공사로 인해 피해를 본다면서 진입로 위치 이전과 주민 참여가 보장되는 공청회를 촉구하고 있다.
pej86@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