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을 상대로 한 성희롱 발언으로 기소된 양 위원장이 진행하는 행정사무감사(행감)를 받을 수 없다고 선언한 뒤 이어진 도의회의 사퇴 요구에 대한 역공이다.
조 실장이 자신의 실명을 걸고 양 위원장을 직격하면서 초유의 피감기관 행감 보이콧 사태의 파장이 걷잡을 수 없이 흘러갈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첫 여성 비서실장인 조혜진 비서실장(왼쪽)과 김동연 경기도지사.(사진=조혜진 경기도 비서실장 페이스북)
이어 “그런데 도청에 근무하면서 경기도의회는 아직 변하지 않았구나 라고 느끼게 됐다”며 “성희롱 의원에 대해 징계 조치는커녕 감싸기까지 하는 것을 보면서 이해할 수가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저는 함께 일하는 공직자들의 목소리를 외면할 수 없었다. 단 한 번의 사과도 없이, 오히려 문제를 제기하는 공직자와 노조, 시민사회를 향해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2차, 3차 가해를 하는 사람이 운영위원회를 진행하는 것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 이번 행감 보이콧 사태의 배경을 설명했다.
양우식 위원장은 지난 5월 9일 ‘저녁에 이태원을 간다’고 한 운영위 소속 남성 직원에게 “남자랑 가냐? 여자랑 가냐?”고 물어본 뒤 “쓰○○이나 스○○ 하는 거야? 결혼 안 했으니 스○○은 아닐 테고”라는 성희롱 발언을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여기서 ‘쓰○○’과 ‘스○○’은 모두 변태적 성행위를 일컫는 단어들이다.
피해 직원은 같은 달 도청 직원 내부게시판에 해당 내용을 폭로했고, 경찰에 양 위원장을 고발했다. 이후 경찰로부터 기소의견을 송치받은 검찰은 지난달 30일 양 위원장을 모욕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조 실장은 이런 양 위원장의 피의사실에 대한 지적과 함께 이번 사태로 말미암아 자신의 사퇴를 요구한 도의회 전체를 싸잡아 비판한 것이다. 양 위원장은 해당 성희롱건으로 지난 6월 도의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징계안건이 올랐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된 심사조차 진행되지 않았다.
조혜진 실장은 “양우식 운영위원장이 행감 사회를 본다는 것은 경기도민의 인권을 경시하고, 성폭력을 사소한 문제로 치부하는 처사”라며 “저는 운영위원회 행감에 성실히 임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도의회를 무시하거나 출석하지 않겠다고 한 적도 없다. 다만, 성희롱 범죄 피고인이 운영위원회의 사회권을 잡는 것을 도저히, 양심상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항변했다.
그는 또 “이것은 경기도의회 전체와 경기도 집행부 간 절차의 문제가 아니다. 성희롱 피고인 운영위원장과 공직자 간 윤리의 문제”라고 이번 상황을 규정했다. 아울러 “이 모든 원인은 성희롱 범죄를 저지르고도 반성하지 않는 국민의힘 양우식 도의원, 한 명 때문”이라고도 했다.
조 실장은 “‘도의회를 경시한다’, ‘도민에 대한 모욕이다’라고 말한 양우식 위원장의 주장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라며 “저는 도의회를 존중하고, 그 어떠한 질책도 겸허히 수용하겠다. 그러나 성희롱 피고인을 도민의 대표로 인정할 수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끝으로 “분명하게 한 번 더 짚고 넘어가겠다. 이제는 양우식 의원님이 결자해지해야 한다. 위원장직에서 내려오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