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외압 의혹' 처분한 해병특검…이종섭 도피 의혹 기소 초읽기

사회

뉴스1,

2025년 11월 23일, 오전 05:00

윤석열 전 대통령. 2025.11.19/뉴스1(서울중앙지법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사기간 만료 1주를 앞두고 해병대원 순직사건과 수사외압 의혹 사건을 각각 처분한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범인도피 의혹(일명 런종섭 의혹)과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을 재판에 넘길 준비를 이어가고 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관련 의혹 사건들과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겸 군인권보호관의 직권남용 혐의 사건 기소 여부도 수일 내 확정될 예정이다.

23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특검팀의 남은 사건은 △런종섭 의혹 △오동운 공수처 등의 직무유기 사건 △김선규·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의 수사방해 의혹 △김 보호관 직권남용 의혹으로, 관련 조사를 마치고 기소 대상자를 정리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10일 해병대원 순직사건의 핵심 피의자 임성근 전 해병대1사단장을 구속기소하고 관련자 4명을 함께 재판에 넘겼다. 이어 지난 21일에는 윤 전 대통령을 비롯해 국방부·해병대 등 수사외압 의혹에 연루된 관련자 12명을 무더기로 불구속 기소했다.

특검팀은 임 전 사단장 관련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등의 구명로비 의혹과 김장환 극동방송 이사장 등 개신교계 구명 의혹 수사도 이어가고 있다.

런종섭 의혹은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실·국가안보실·외교부·법무부 인사들과 공모해 2023년 말부터 수사외압 의혹 피의자인 이 전 장관을 도피시키기 위해 그를 주호주대사에 임명했다는 내용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 전 장관이 국방부 장관에서 물러날 무렵인 2023년 10월 그에게 직접 대사 임명 문제를 거론했다. 그로부터 두 달 후 이원모 전 대통령비서실 인사비서관은 외교부에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절차를 준비하라고 통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외교부는 이듬해 1월 16일 공관장 자격 심사에서 이 전 장관에 대해 '적격' 판정을 기재한 심사용지에 심사위원들의 서명만 받는 등 졸속으로 심사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당시 심사위원장을 맡은 김홍균 전 외교부 1차관은 특검 조사에서 "검증이 미진했다"고,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은 "이 전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 과정이 정상적이지 않았지만 윤 전 대통령의 뜻이라 거부하지 못했다"고 진술했다.

법무부는 수사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공수처의 반대 의견에도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조치를 해제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법무부의 박성재 전 장관과 심우정 전 차관은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심의가 있기 전 법무부 관계자들에게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 해제를 준비하라고 지시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또한 국가안보실은 22대 총선을 앞두고 이 전 장관의 주호주대사 임명으로 나빠진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지난해 3월 25일 열린 '방산 협력 주요 공관장 회의'를 급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은 특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방산 협력 공관장 회의 개최를 지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특검팀은 방산 협력 회의에 참석한 주요국 대사들을 조사하며 회의 개최 직전에 외교부로부터 귀국 통보를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회의에 참석한 방산업체들 역시 회의 1~2일 전에 해당 일정을 공지 받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특검팀은 지난 16일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런종섭 의혹에서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범인도피 혐의를 받는 윤 전 대통령을 조사했다.

goldenseagull@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