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아시아·태평양 심장혈관 중재 및 수술 심포지엄 성료

사회

이데일리,

2025년 11월 25일, 오전 10:05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30년, 살아 숨 쉬는 심장 : 헌신의 유산, 미래를 향한 비전’

지난 12~14일 서울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 심장혈관 중재 및 수술 심포지엄(APCIS)’ 그리고 올해로 30주년을 맞은 ‘쓰리데이 세미나(3-Day Seminar on Congenital Heart Disease)’에 대한 행사 주관기관 우촌심뇌혈관연구재단 서정욱 이사장의 한마디 정의다.

서 이사장은 “APCIS의 모태가 되는 3-Day Seminar가 30주년을 맞았다”며 “올해 행사는 최신 지견을 논의하는 것은 물론 지난 30년간 대한민국 소아심장학 분야의 임상적 기초를 지켜온 전문가들의 숭고한 헌신을 기리고, 다가올 미래세대를 위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이중적 목표를 함축적으로 담아냈다”고 평가했다.

서 이사장은 이번 3-Day Seminar 30주년을 맞아 지난 세월 희노애락이 고스란히 담긴 사진을 참가자들에게 공개했다. 사진에는 과거 1980~90년대 열악했던 의료현실 속에서 정부 지원 없이 3-Day Seminar를 이어가는 장면부터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후배 의료인을 위해 페이스 쉴드까지 쓰며 교육에 매진하는 장면까지 후학 양성을 위해 멈추지 않는 선배 의료인의 열정이 가득 담겨 있다.

서 이사장은 “APCIS와 3-Day Seminar는 그야말로 희생과 봉사의 상징”이라며 “현재 해외 참가자가 50% 비중을 차지하는데,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 의료인이 모두 어우러져 선천성 심장병 치료법을 배우고 있다. 명실상부 국제적인 소아심장학 심포지엄으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소아심장학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프랭크 잉(Frank Ing, UC Davis Health·USA) 박사도 행사장에 직접 참석해 “전 세계에 하나밖에 없는 특이한 학술행사로, 실제 심장으로 다양한 심장병을 직접 볼 수 있다는 점과 밤 10시 넘어서까지 이어지는 활발한 토론 분위기가 매우 인상적”이라며 “무엇보다 소아 심장병을 치료하는 의사들의 헌신을 확인할 수 있는 행사”라고 3-Day Seminar의 지난 30년간 업적을 기렸다.

2025 APCIS 주제 발표 현장의 모습. 우촌심뇌혈관연구재단 제공.
◇ ‘2025 APCIS’, 19개국 750여명 참여 성황

‘2025 APCIS’가 전 세계 19개국 75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25일 세종병원에 따르면 APCIS(대회장 정성운·공동대회장 오병희)는 전 세계 심장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포괄적인 심장혈관질환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다.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회장 정성운)가 주최, 우촌심뇌혈관연구재단(이사장 서정욱)이 주관하며 대한심장학회 심장병리연구회, 대한소아심장학회, 혜원의료재단 세종병원 등이 후원한다.

올해 APCIS는 ‘심장 질환의 필수 의료 서비스’를 주제로 했다.

참여자들은 2박 3일간 심부전, 부정맥, 심장신장증후군 및 심장간증후군, 좌심실보조장치(LVAD) 등 심장을 위한 기계적 지원, 심장이식, 선천성 심장병(CHD) 및 성인 선천성 심장병(ACHD), 폰탄 등 수술 사례, 소아 심장병 환자에 대한 심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MRI) 임상 적용, 대동맥판막·승모판막·삼첨판막의 치료, 관상동맥 및 말초혈관 중재술, 심장재활, 심장간호, 임공심폐기, 나라별 특이 임상 사례 논의 등에 대해 최신 지견을 공유하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소아심장 수술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실바(Jose Pedro Da Silva) 교수도 현장에 직접 참석, 3D 모델을 이용해 심장 수술하는 방법을 시연하고 참가자들이 직접 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눈길을 끌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 윌리엄 미란다(William R. Miranda) 박사 등도 실시간 온라인 영상 연결로 참여해 선천성 심장병 치료법인 폰탄 수술의 침습적 카테터 삽입술을 평가하는 등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APCIS에는 올해도 변함없이 실물 심장이 등장했다. 우촌심뇌혈관연구재단 서정욱 이사장은 심장 표본 관찰을 위해 부검 및 심장이식 과정에서 나온 실물 심장 200개가량을 준비했다. 실물 심장 관찰은 타 학술대회와의 대표적인 차별화 점이다.

서 이사장은 주제 발표를 하면서 심장병을 앓았던 실물 심장을 준비해 단단해진 촉감 설명은 물론, 섬유질이 심장 내부에 쌓인 모습, 심장이 비대해진 모습, 심근 곳곳에 흰 반점(경화된 흔적)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시키며 발표의 이해를 도왔다.

◇ 3-Day Seminar ‘30주년’, 부천세종병원의 꾸준한 지원·노력이 30주년 선천성 심장병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으로 이어져

1995년 한국에서 개최된 제1회 3-Day Seminar의 모습. / 부천세종병원 제공.
특히 APCIS의 모태가 된 ‘쓰리데이 세미나(3-Day Seminar on Congenital Heart Disease)’도 행사 기간 변함없이 펼쳐졌다.

올해 30주년을 맞이한 3-Day Seminar는 선천성 심장병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이다. 그야말로 소아심장 환자만을 위해 살아온 의료인들의 순수한 열정과 화합의 장이자, 전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어려운 실제 부검 심장을 보며 교육하는 국내 유일무이한 교육 현장이다. 3-Day Seminar 30주년 업적은 바로 국내 유일 심장전문병원 부천세종병원의 꾸준한 지원과 노력의 결과물이다.

세종병원 설립자인 우촌 박영관 박사가 해외에서 개최되던 선천성 심장병 경쟁 토론을 1995년 한국으로 유치,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지난 30년간 참여한 의료인은 전 세계 2천48명에 달한다.

선천성 심장병 치료에는 심장내과, 소아청소년과, 심장혈관흉부외과의 소아 심장 전문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들을 꾸준히 교육 해야 하는데, 교육에는 부검 심장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우촌 박영관 박사는 지난 1982년 세종병원을 설립한 이후 ‘부검’을 통해 심장병의 진단, 수술, 수술 후 처리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기록하고 연구하기 시작하는 데 매진했다.

연구를 위해 사망한 심장병 환자의 심장을 얻으려면 그야말로 뺨 맞을 각오를 해야 했다. 세종병원 의료진은 연구를 위해 환자의 보호자들을 진심으로 설득했고, 처음에는 부검을 완강히 거부하던 보호자들도 “심장병을 연구해서 사망하는 환자를 줄이겠다”고 설득하는 열혈의사들의 의지에 마음이 움직여 동의를 해줬다.

그렇게 어렵사리 모은 부검 심장으로 진단, 수술 등 전 과정을 재현해 봄으로써 사인을 밝히고 이를 상세하게 정리했는데, 이것이 바로 3-Day Seminar의 근본이 됐다.

서 이사장은 “부검을 통한 실패 사례 분석과 임상·병리 토론회를 통한 지식의 구축은 의료진의 교육과 학술 연구, 진료 기술 성장으로 이어졌고 세종병원의 선천성 심장병 치료성적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며 “이같이 축적된 지식을 나누고자 시작한 국제 학술 프로그램이 바로 1995년에 시작한 3-Day Seminar”라고 설명했다.

3-Day Seminar는 전 세계에서 선천성 심장병을 전공하는 젊은 교수와 전임의, 전공의가 참여해 팀을 나눠 실제 환자 치료 영상과 수술 등 치료 사례를 재검토하며 사흘간 늦은 밤까지 선천성 심장병에 대해 경쟁 토론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선배와 후배 간 멘토·멘티 관계가 강력하게 작동한다.

부검, 심장이식 등을 통해 합법적으로 획득한 실물 심장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며 임상 진료 의사의 학술 연구와 토론, 교육에 이용하는 게 여타 학술대회와 3-Day Seminar의 핵심 차별화 점이다.

올해 경쟁 토론에는 한국, 미국, 일본, 대만,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인도, 폴란드, 태국, 몽골,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등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150여명의 심장 전문의가 참여했다.

프랭크 잉(Frank Ing, UC Davis Health·USA), 모하메드 갈랄(Mohammed Omar Galal, King Faisal Specialist Hospital·Saudi Arabia), 바랏 달비(Bharat Dalvi, Glenmark Cardiac Centre·India), 신고 가사하라(Singo Kasahara, Okayama University Hospital·Japan), 이흥재(성균관대) 등 소아심장학 분야 세계적 권위자도 대거 참석, 3-Day Seminar의 30주년을 축하하고 그간 업적을 기리는 한편, 경쟁 토론에 참여한 후배 의료인을 격려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