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의혹' 강철원·김한정 특검 출석…"오세훈에 보고 안해"(종합)

사회

뉴스1,

2025년 11월 25일, 오전 10:51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25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 빌딩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강 전 부시장은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 선거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 캠프 실무를 총괄하며 여론조사비 대납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2025.11.25/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의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을 수사 중인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이 25일 오 시장의 최측근과 후원자를 잇따라 소환했다.

김건희 여사의 종묘 차담회 의혹과 학교 폭력 무마 사건과 관련해 장상윤 전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도 불러 조사한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9시 30분부터 강 전 부시장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피의자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강 전 부시장은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 선거 당시 오 시장 캠프 실무를 총괄하며 여론조사비 대납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그는 이날 오전 9시 28분쯤 특검 출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명 씨에게 여론조사를 몇 차례 의뢰했냐는 물음에 "한 적 없다"고 답했다.

그는 '여론조사 결과를 몇 차례 보고 받았느냐'는 질문에 "처음에 테스트할 때만"이라고 말끝을 흐렸고, '오 시장에게 결과를 보고했느냐'고 재차 묻자 "안 했다"고 부인했다.

특검팀은 이어 오 시장의 후원자로 알려진 사업가 김 씨도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김 씨는 오 시장 측이 명 씨가 실소유한 미래한국연구소의 미공표 보궐 선거 여론조사를 제공받는 대가로, 3300만 원 상당의 여론조사비를 대납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오전 10시 22분쯤 특검에 도착한 김 씨는 '오 시장 부탁으로 대납이 이뤄졌느냐'고 묻는 말에 "대납이라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며 "무슨 대납을 했다는 것이냐"라고 반문했다.

김 씨는 비용 지불에 대해선 "내가 부가세 주고, 내 이름으로 송금해서, 내 이름으로 (여론조사를) 한두 번 받아본 게 무슨 대납이냐"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여론조사 결과는 오 시장에게 보고했느냐고 묻자 "안 했다"고 단호히 말했다.

두 사람은 지난 3월 서울중앙지검의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 소환에 출석한 적 있으나 특검 소환은 이날이 처음이다.

특검팀은 강 전 부시장을 상대로 보궐 선거 당시 오 시장과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의 소통 과정 등을, 김 씨에게는 여론조사비를 납부한 경위를 파악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이날 피의자 조사를 마치는 대로 오 시장 기소 여부도 이른 시일 내 결정할 전망이다.

오 시장은 서울시장 보궐 선거 당시 미래한국연구소 여론조사 13건을 제공받고, 김 씨를 통해 미래한국연구소 부소장인 강혜경 씨 계좌에 조사비를 대납하게 한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를 받는다.

오 시장 측은 여론조사가 캠프에 정기적으로 제공된 적 없고 김 씨가 스스로 비용을 냈을 뿐, 납부한 사실도 몰랐다고 반박한다. 김 씨도 오 시장과 무관하다고 주장해 왔다. 다만 명 씨는 오 시장의 부탁을 받았다는 입장이다.

장상윤 전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 2025.10.30/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특검팀은 이날 오전 김 여사의 '종묘 사적 이용' 사건과 김승희 전 대통령 의전비서관 자녀의 '학교폭력 무마' 의혹과 관련해 장상윤 전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을 소환했다.

장 전 사회수석은 김 여사가 지난해 9월 3일 세계문화유산인 종묘 망묘루에서 외부인과 비공개 차담회를 가질 당시 대통령실에서 근무했다.

특검팀은 이 사건과 관련해 지난 4일 신수진 전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장 전 수석은 김 전 비서관 학교 폭력 사건 무마에도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그는 사건 발생한 뒤인 2023년 7월 20일 김 여사와 8분 49초가량 통화했다.

이와 관련, 그는 지난달 국회에 출석해 "통화는 했다"면서도 "학폭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ausure@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