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E 투자·AI로 에너지수요 급증…전력망·효율·열 '전면 전환' 제언

사회

뉴스1,

2025년 11월 25일, 오후 03:35

25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한국지역난방공사 창립 40주년을 맞아 열린 '2025 집단에너지 국제 심포지엄'에서 정용기 한난 사장,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 로빈 윌트셔 유럽집단에너지협회 (IEA-DHC) 의장, 로빈 윌트셔 유럽집단에너지협회 (IEA-DHC) 의장 등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뉴스1 황덕현 기자

한국의 화석연료 의존도가 80%를 넘고 산업 구조가 에너지 다소비형에 머물면서, 2050 탄소중립 목표를 향한 전환 속도가 글로벌 추세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현제 에너지경제연구원장은 25일 열린 '2025 집단에너지 국제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포함한 무탄소 전원의 확대, 전력망 확충, 효율 혁신 등 전 분야의 구조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재생에너지만으로는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 원장은 기후위기 심화로 국가 간 대응 경쟁이 강화되고 있다며 이런 필요성을 보완했다.탄소 규범을 강화하는 국제 흐름이 한국의 산업 환경에도 직접적 영향을 준다고 설명이다.

김 원장은 청정에너지 투자 증가와 AI·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을 중요한 변수로 제시했다. 그는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날 전망이 있다"며, 전기화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이 늘어나는 역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에경원이 낸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1차 에너지 공급에서 화석연료 비중은 80.5%, 산업 부문 최종소비 비중은 60.8%에 달한다.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OECD 최저권에 있으며, 최근에서야 10% 수준을 넘어섰다. 에너지 수입 의존도는 총수입액의 25% 이상을 차지한다. 김 원장은 "한국은 에너지 다소비, 중화학 산업 구조로 돼 있다"며 단기간 에너지 전환이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이재명 정부가 제1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통해 무탄소 에너지 발전 비중을 2023년에 39%에서 2038년에 70.7%까지 늘리는 전력 계획을 짰다며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뿐 아니라 원전, 수소, 암모니아 등 다양한 무탄소 전원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전의 경제성과 안정성을 기반으로 한 활용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원장은 최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발표한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53~61%)와 탈석탄동맹(PPCA) 가입과 관련해서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청정에너지 구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 확대 △안정적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원자력 발전 활용 △전력망 확충 및 분산화 병행 추진 △기술개발·청정생산 전환 지원 △에너지 효율 혁신 △열에너지의 탈탄소화 △청정 수소 활용 등 에너지 안보 기반 실행안을 내놨다.

ace@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