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암진료가이드라인 사업단 성과보고회에서 사업단과 학회 관계자가 기념촬영하는 모습.(사진=안치영 기자)
이번 성과보고회는 2021년 출범 이후 5년간 추진된 제1기 사업의 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다가오는 제2기 사업 계획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국립암센터 암진료가이드라인 사업단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지난 5년간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헌고찰 방법론을 기반으로 15개 암의 종류별 전문학회와 협력해 18개 종양, 171개 핵심질문과 1개 권고안 대한 근거중심의 표준 암 진료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이어 추가 항목 제정과 지속적 개정 작업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다.
암진료가이드라인 사업은 몇몇 전문가의 경험보다는 과학적 문헌 근거와 우리나라 의료여건에 기반을 둔 최신 지견을 제공한다, 지역과 병원 규모에 따른 진료 수준 격차를 줄이고, 지역병원에서도 쉽게 치료를 연계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암을 치료하는 국내 의료진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관행 또는 지나친 방어진료로 인해 의료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지출되는 경우가 있는데 가이드라인이 생기면서 자원의 과잉소모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새로운 지견이 의료보험 정책에도 반영되도록 제안해 의료진이 항상 최신 지견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는 설명도 나온다.
왕규창 국가암진료가이드라인사업단장은 “앞으로 제2기 사업을 통해 비전문 의료인,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안내물 제작을 포함해 국내 암 환자 치료의 근거 기반 강화와 확산을 목표로, 더욱 체계적인 가이드라인 구축 및 보급에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