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기후에너지환경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11.25/뉴스1
노후 상수도 정비사업 이후 지자체 간 관리 수준이 크게 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에너지환경부가 26일 공개한 사후관리 평가에서 일부 지역은 누수·수질 사고를 막기 위한 관리 체계를 유지했지만, 상당수는 성과 유지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이날 2017년부터 국비 약 3조원을 투입한 노후 상수도 정비사업의 사후관리 결과를 발표했다. 상수관망 교체가 이뤄진 60곳의 평균 유수율은 사업 전 대비 34%포인트(p) 올랐고, 연간 약 9106만톤의 누수 절감 효과가 확인됐다. 그러나 사업 이후의 관리 역량은 지자체별로 차이가 컸다는 게 기후부 설명이다.
최우수 지자체는 경남 함양군, 우수 지자체는 전남 고흥군과 경북 성주군이 선정됐다. 이들 지역은 유수율 85% 이상을 유지하고, 구축된 관망관리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안정적 운영 기반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절감 비용을 다시 상수도 정비에 투입하는 선순환 구조도 평가됐다.
반면 관리 체계가 미흡한 지자체는 유역수도지원센터를 통한 기술지원과 맞춤형 진단을 받게 된다. 기후부는 내년부터 사후관리 교육 과정도 신설해 지자체 담당자 전문성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우수 지자체에는 포상금과 함께 2027년 예산부터 노후 상수도 정비사업 국고보조율을 기본 50%에서 70%까지 높여 지원한다.
ace@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