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국회(정기회) 운영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 출석해 생각에 잠겨있다. 2025.11.18/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인권연구자 734명이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을 향해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박경태 한국인권학회 회장 등 734명은 26일 성명을 내고 "안창호 위원장의 즉각 사퇴를 엄중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인권연구자 655명은 지난 1월 인권위가 전원위원회에 '계엄 선포로 야기된 국가의 위기 극복 대책 권고의 건'을 올린 것과 관련해 안 위원장과 인권위원 6명의 자진 사퇴를 촉구한 바 있다.
이들은 "인권위는 인권위다운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고, 창설 이후 가장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며 "과장급 간부 직원들까지 실명으로 위원장 사퇴를 요구했고, 인권위 퇴직 공무원들도 1인 시위에 나섰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어 "이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은 무엇보다도 안 위원장에게 있다"며 "그는 차별금지법, 양심적 병역거부, 낙태죄, 수형자 선거권, 사형제 등 주요 인권 쟁점에 대해 국제인권기준과 배치되는 입장을 개진해왔으며, 보수 개신교 일부의 극단적인 입장을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대변해온 인물"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안 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위헌적 비상계엄 후 탄핵 소추되자 '총리 탄핵심판을 신속 심리하라'는 등 인권위 업무와 무관한 정치적 내용을 담은 안건을 상정했고, '탄핵심판절차가 윤석열의 인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취지의 결정문을 채택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인권위가 더 이상 표류하는 것을 두고 볼 수 없다"면서 "국제인권기준에 반하는 입장을 가진 위원장, 위헌적·불법적 비상계엄을 옹호하기 위한 안건을 통과시키고, 반인권적·차별적 언행을 일삼는 위원장이 있는 상황에서 인권위가 제 기능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더이상 안창호 위원장 체제 하에서 인권위 정상화를 기대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번 성명에는 문병효 민주주의법학연구회장, 박이은실 여성문화이론연구소장, 박은정 한국젠더법학회장, 배은경 한국여성학회장, 홍성수 인권법학회장 등이 이름을 올렸다.
sinjenny97@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