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기아리포트는 세계기아지수 발표 20주년을 맞아 ‘제로헝거를 향한 20년의 성과와 새로운 다짐’을 주제로 열렸다. 행사에는 100여명이 참석해 정부·학계·시민사회 등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지난 20년을 돌아보고 정체된 기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논의했다.
이영신 컨선월드와이드 한국 이사장은 환영사에서 “올해는 세계기아지수 보고서 발간 20주년으로, 지난 20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대응 전략을 함께 고민해야 할 중요한 시점”이라며 “기아 문제는 어느 한 나라나 기관이 해결할 수 없는 만큼 국제적 협력과 지역사회의 주도성이 결합될 때 지속가능한 성과가 만들어진다”고 강조했다.
2025 세계기아지수 발표에서는 전 세계 기아 상황이 지난 10년간 사실상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분석 결과 42개국이 ‘심각(serious)’ 또는 ‘위험(alarming)’ 단계로 분류됐으며, 기후위기·분쟁·경제 불안정이 취약국의 식량안보를 더욱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5 세계기아지수 발표 중인 이준모 컨선월드와이드 한국 대표 (사진= 컨선월드와이드)
이번 행사는 △이준모 대표의 ‘2025 세계기아지수 발표’ △도미닉 크라울리(Dominic Crowley) 컨선월드와이드 CEO의 ‘분쟁과 기아의 악순환을 끊기 위한 글로벌 과제’ △곽재성 경희대학교 국제개발협력학과 교수(국제개발협력학회 회장)의 ‘불평등이 만든 기아의 대물림 – 포용적 성장과 사회보호로의 전환’ △유은하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 과장의 ‘기후위기 시대의 식량안보 – 기후스마트 농업기술과 국제 협력 사례 소개’ 순서로 진행했다.
2025 세계기아리포트에 참석한 연사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준모 컨선월드와이드 한국 대표, 곽재성 경희대학교 국제개발협력학과 교수, 김시원 중앙일보 더버터 편집장, 유은하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 과장, 이영신 컨선월드와이드 한국 이사장, 도널 콜먼 유엔식량농업기구 가축위원회 의장, 도미닉 맥솔리 컨선월드와이드 CEO, 미쉘 윈트럽 주한 아일랜드 대사
한편, 컨선월드와이드는 1968년 설립된 국제인도주의전문기관으로, 매년 세계기아지수를 발표하며 전 세계 기아 수준을 알리고 국제적 관심과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