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한 옷 입는 심리 궁금"…대구 남교사, 성폭행 피해 여성 '2차 가해' 논란

사회

뉴스1,

2025년 11월 29일, 오전 05:00


© News1 DB

대구의 한 현직 고등학교 교사가 성폭행 피해자를 2차 가해하는 글을 남겨 논란이다. 누리꾼들은 "요즘 세상에 교사하기에는 성 인지 감수성이 너무 부족하다"라며 분노하고 있다.

지난 27일 한 누리꾼은 자신의 SNS 계정에 "요즘 선생님들이 이러는데 애들이 어떻게 바르게 자라겠나"라는 지적과 함께 교사 A 씨가 남긴 댓글을 캡처해 공유했다.

앞서 11년 전 한 누리꾼은 성폭행 원인을 피해 여성의 옷차림에 전가하는 태도를 꼬집는 글을 올렸다. 이 누리꾼은 "성폭행이 여자가 야하게 입기 때문에 일어나는 거면 내가 엘리베이터에서 치킨 배달원을 죽여 패서 치킨을 뺏어 먹어도 할 말이 없겠네. 네가 털린 이유는 네가 밀폐공간 안에서 치킨을 들고 치킨 냄새를 풍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꼬우면 배달을 하지 말든가"라고 비꼬았다.

최근 이 누리꾼의 글이 재차 화제를 모았고, 여기에 A 씨는 "성폭행범의 범행 동기보다 야한 옷을 입는 여자들의 심리가 더 궁금함"이라는 댓글을 남겼다.

A 씨의 댓글을 본 또 다른 누리꾼은 "프로필 사진이랑 SNS 계정 보니까 선생인 것 같은데 선생이면 최소한 그딴 말 하고 다니면 안 되죠. 안 쪽팔리세요? 제자들 얼굴 다 안 가려놓고 그딴 말 하면 제자들 얼굴에 먹칠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A 씨는 자신의 인적 사항을 밝히면서 교사임을 인정하고 해명에 나섰다.

(SNS 갈무리)

그는 "재직 중인 학교 교감이 요청해서 해명 글을 남긴다"라며 "그저 여사친과 이야기하다가 토론할 때도 명확한 답을 듣지 못해서 그랬다. 행위가 발생한 이유가 궁금했다"고 밝혔다.

이어 "성폭행범은 집에서 나설 때부터 이미 목적을 가지고 제압하기 쉬운 여성을 골라 범행하는 것이지, 여자의 옷차림과는 상관이 없다고 생각한다. '야한 옷'이라는 단어에만 집중해서 성급하게 댓글을 남겼다"고 부연했다.

또 A 씨는 "가해자의 범행 동기는 알고 있어서 궁금하지 않았다. 조금 평범하지 않은 옷을 입었다는 건 입은 사람만의 컨셉이 있을 거고, 거울 보며 코디할 때 아무 생각이 없진 않았을 거다. 그래서 질문했고 이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듣는 것이 목적이지, 어떤 대답을 유도한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A 씨는 '야한 옷을 입는 여자들의 심리가 궁금한 것'은 단순 호기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가 호기심을 제시한 장소가 적절치 못하다는 건 인정하겠으나, 그 호기심 자체가 쓰레기 같다는 건 부연 설명이 좀 필요한 것 같다"라며 "원문을 보고 평소에 품었던 궁금증을 떠올린 건 잘못된 연상법이었다"라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제 글에 정신적 피해를 보신 분들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 어떤 책임이라도 지겠다"고 사과한 뒤 학교 교감의 요청으로 SNS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했다고 덧붙였다.

"성희롱적 시선 소름" "성인지 감수성 바닥났다"…누리꾼 공분
누리꾼들의 분노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특히 한 누리꾼은 "글 내용 전부 캡처해 뒀고 교육부든 어디든 정식으로 민원 넣겠다. 당신 같은 사상이 뭉개진 사람들에게 미래에 태어날 우리 아이들을 맡기긴 힘들 것 같다. 빠른 시일 내로 교단에서 물러나 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외에도 "본인이 어떤 의도로 주장하는지 알겠으나 표현을 잘못 사용한 문제이지, (댓글을 남긴) 장소의 문제가 아니다. 어떤 장소에 갖다 놓아도 저 말은 잘못된 말이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입장이라면 더욱이 도덕적인 사고관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화내는 이유는 '호기심'이 주체가 아니라 그 호기심이 깔고 있는 폭력적인 전제가 너무 잘 드러나서다. 여성의 옷차림을 '야하다'고 규정하고 그 '심리'가 궁금하다고 공개적으로 쓰는 것 자체가 명백한 성적 대상화이자 성희롱적 시선", "내 딸이 저런 선생이랑 같은 공간에 있다고 생각하면 소름 돋는다", "성 인지 감수성 바닥 난 질문을 호기심으로 포장하지 말아라" 등 반응을 보였다.

한편 해당 고등학교 담당 장학사는 CBS노컷뉴스에 "사실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문제 될 여지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적절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전했다.

sby@news1.kr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