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신한투자증권)
이 프로그램은 현업의 실무 경험과 전문성을 결합한 인재 운영체계가 핵심이다. 선발된 인재들은 원소속 부서에서 근무하면서 내부통제 취약 영역을 발굴·개선 제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별도 조직 신설 없이 기수별 운영체계를 통해 유연하고 지속적인 내부통제 개선 문화를 확산시킬 예정이다.
신한투자증권은 ‘일상이 되고 문화가 되는 바른 영업’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내부통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 임원 성과급을 일괄 차감하고 핵심성과지표(KPI) 평가와 포상에서 제외, 지점장 인사평가 및 직원의 개인 성과평가에 반영하는 등 책임 범위를 조직 전반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영업 실적이 우수한 지점이라도 소비자보호·고객만족도·고객수익률 등 핵심 지표가 부진할 경우 모든 포상에서 제외한다. 이는 단기적인 지점의 성과보다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조치다.
고위험 상품 소비자 보호 체계도 한층 강화했다. 초고령(만 80세 이상) 투자자가 파생결합증권(ELS·DLS) 상품에 가입하는 경우 해당 지점과 직원의 판매 수익을 불인정하기로 했다.
또한 불완전 판매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품별 완전판매 표준 스크립트를 제공하고 표준판매 원칙을 체계화했다. 미스터리쇼핑 평가와 연계된 판매중지 제도를 도입해 평가 점수가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해당 영업점의 관련 상품 판매를 일정 기간 제한하낟.
정용욱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총괄사장은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이익과 신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소비자보호 가치체계를 지속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며 “현장의 우수 인재들이 참여하는 내부통제 화이트 해커 운영을 통해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해 내부통제가 일상이 되는 조직문화를 완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