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들이 문제 삼는 핵심 사안은 △불필요한 회생절차 강행 여부 △공시 누락 의혹 등이다. 소액주주들은 나 전 대표가 지난 5월 약 1억원 규모의 회사 어음을 부도 처리한 직후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한 점을 지적하며 “주총에서 해임이 임박한 상황에서 경영권 방어를 위한 조치였다는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주주들은 이 과정에서 이사회 승인 없이 작성된 문서가 사용됐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회생 신청 이후 공시 지연 논란도 불거졌다. 회사가 회생 개시 결정, 주요 소송 진행, 임시 주총 결과 등 주요 사항을 제때 공시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소액주주들은 이를 ‘의도적 정보 은폐’로 규정하며 “주주를 속이고 회사 신뢰를 실추시킨 행위”라고 날을 세웠다.
소액주주들은 검찰에 빠른 수사를 요청하고 있다. 소액주주 측은 제출 서류에서 “전 경영진이 증거인멸 우려가 있다”며 엄정한 수사를 요구했고, 일부 주주들은 구속 수사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주주들은 회생절차 관리인 교체 요구서를 법원에 제출하는 등 추가 조치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움직임은 평소 개별적으로 대응하던 소액주주들이 집단 행동으로 나선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동성제약의 현 최대 주주인 브랜드리팩터링 측은 “불성실공시 사태는 회사 투명성 문제와 연결된다”며 소액주주들과의 공조 의사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