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C 전문' 에임드바이오, "기술이전·로열티 기반 지속가능 수익 창출"

주식

이데일리,

2025년 11월 18일, 오후 01:14

[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항체-약물 접합체(ADC) 에셋 전문 바이오 기업 에임드바이오가 상장 후 자체 임상개발 역량을 확장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신약개발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허남구 에임드바이오 대표는 18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업공개(IPO) 간담회를 열고 “향후 지속적인 기술이전과 장기적으로 로열티 수익을 기반으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수익구조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2018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스핀오프 형태로 설립된 에임드바이오는 국내 의료계에서 높은 명성과 전문성을 갖춘 남도현 교수(현 의장 및 CTO)가 창업한 기업이다. 환자유래세포 및 모델(PDC, PDX)·환자 데이터·병원 기반 연구 역량을 결합한 에임드바이오의 통합 ADC 개발 플랫폼 ‘P-ADC’를 통해, 미충족 의료 수요(Unmet Medical Needs) 기반의 타겟 발굴과 항체 기반 ADC 에셋을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설립 이후 빠른 성장을 이어온 에임드바이오는 2023년 삼성물산·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피스가 공동 출자한 삼성라이프사이언스펀드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어 2024년 미국 바이오헤이븐과 ‘AMB302’ 관련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고, 지난 10월에는 독일 베링거인겔하임과 최대 1조4000억원 규모의 초대형 기술이전에 성공하며, 비상장 단계에서만 총 3조원 이상의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계약을 달성하는 유례없는 성과를 거뒀다는 설명이다.

이 외에도 SK플라즈마와 핵심 파이프라인 ‘AMB303’의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으며, 에임드바이오가 자체 개발한 페이로드 ‘AMB401’과 ‘AMB402’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ADC 툴박스 프로그램’ 공동개발 파트너로 참여해 공동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에임드바이오는 2024년 하반기 기준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성공했고, 2025년 상반기에도 영업이익 흑자를 이어가며 두 개 반기 연속 흑자 기조를 달성했다.

에임드바이오의 영업실적은 우수한 재무안정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 회사는 2025년 9월말 기준 전체 자산 약 920억원 중 850억원 이상을 유동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부채는 약 30억원 수준이다.

허 대표는 “일반적인 바이오텍과 차별화된 회사의 재무건전성은 현재 현금 보유수준과 기체결된 기술이전 계약에 따른 예상수익 등을 고려하였을 때 향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에임드바이오는 이번 상장을 통해 총 643만주를 공모할 예정이며, 공모가 밴드는 9000~1만1000원,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5774~7057억원 수준이다. 상장은 12월 중 예정이며,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