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보고서는 경기 회복 과정에서 정책 모멘텀의 강화도 중요한 동력으로 지목했다. 특히 정부가 배당세 개편, 자사주 관련 상법 개정, 장기투자 유인책 등 주요 자본시장 입법 과제를 지속 추진하며 ‘코스피5000’ 로드맵에 힘을 실을 것으로 전망했다. 성인 인구 절반 이상이 주식투자자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개인투자자 친화적 정책 드라이브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도 내다봤다.
수출 측면에서는 2025년 회복세를 주도한 기술 수출이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는 가운데, 미·중 통상 환경 완화와 무역합의로 비기술 수출까지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모간스탠리는 “수출 전망이 개선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를 제외한 품목의 반등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자동차 수출에 영향을 미쳤던 관세 불확실성도 완화돼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민간소비는 올해 1.2%에서 내년 2.1% 성장으로 반등할 전망이다. 정부의 2026년 예산 증가율(8.1%)이 5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하며 가계소득 지원이 확대되고, 금리 인하의 시차효과가 2026년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봤다. 보고서는 “2024~2025년 금리 인하의 긍정적인 전달 효과가 2026년부터 가시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가에 대해선 “2026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2.0%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제시했다.
투자 부문에서는 지난 수년간 성장의 발목을 잡았던 건설투자가 2026년 소폭 플러스로 전환될 것으로 봤다. 다만 주택시장 규제가 회복 속도를 일부 제약할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설비투자는 2025년의 둔화 이후 2027년에 본격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반도체 업황 개선과 비기술 수출 회복이 중장기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한국은행의 통화정책과 관련해서는 내년 내내 기준금리가 2.5%에서 동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기준금리가 중립금리 범위(2.25~2.75%)의 중앙값에 위치해 추가 인하 동력이 약하며, 주택시장과 환율 변동성 등 금융안정 우려가 완화적 통화정책으로의 복귀를 어렵게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