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와이즈넛)
전년 동기 대비 사업별 실적으로는 AI 에이전트 부문이 신규 사업 수주와 기존 고객 업셀링 효과로 3분기 성장세를 견인했다.
특히 AI 에이전트와 챗봇 부문을 합산한 AI 관련 매출 비중이 전체의 약 31.6%로 확대되며 와이즈넛의 AI 중심 포트폴리오 전환이 본격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실적은 AI 에이전트 기반 사업 수주가 매출에 반영되면서 전 분기 대비 확대됐고 AI 에이전트 중심으로 시장이 자연스럽게 전환되는 환경의 영향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AI 기술력 강화와 산업계 전반의 디지털 전환 기조에 따라 공공 및 B2B 시장에서 AI 에이전트 도입 수요를 공공부분의 관련 사업사례들로 확인했다.
강용성 와이즈넛 대표는 “올해 남은 기간 동안 공공 분야를 포함 전 산업계의 AX 수요에 적극 대응해나갈 계획이며, 내년도 본격화될 도메인 특화 AI에이전트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