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성과는 항우연의 ‘우주개발 기반조성 및 성과확산사업’을 통해 추진된 국산 우주용 전자부품 8종 개발 가운데, 시지트로닉스가 다이오드 부문을 주도해 확보한 결과다. 국내 기업이 개발한 전력반도체가 한국형 발사체 기반 우주 미션에 적용되는 것은 중요한 기술적 이정표로 평가된다.
시지트로닉스가 개발한 우주급 SBD는 △40V, 150V 정격 전압 △5A, 15A 최대 순방향 전류 △낮은 순방향 전압 강하 및 최소 전력 손실 등의 특성을 갖춰 고효율 SMPS, 고주파 스위칭 회로, DC-DC 컨버터 등 다양한 우주 전력변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됐다.
회사는 본 개발 과정에서 항공우주 품질경영 인증 ‘KS Q 9100’을 취득하며 우주용 고신뢰성 전자부품 생산 능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또한 이번 기술은 시지트로닉스가 미사일 신관용 고출력 스위칭 소자(MCT)를 양산해오며 축적한 방산 전력반도체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이를 통해 회사는 △방산 중심의 기존 사업을 우주 분야로 확장하고 △수출통제가 강한 핵심 전력반도체 품목에 대한 국산 공급망 확보에 기여하며 △우주·방산 분야 공급망 리스크 완화에 전략적 가치를 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당 국산화 성과는 한국형 우주 플랫폼 전반에서 국산 전력반도체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향후 고신뢰성 산업 및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도 추가 수요 확대가 전망된다.
항우연은 시지트로닉스의 우주급 SBD를 포함한 국산 우주부품 8종을 2025년 호주 IAC(국제우주대회) 한국관에서 공식 전시, 국제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 홍보를 지원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시지트로닉스는 우주·방산 분야 협력 확대, 우주용 반도체 양산 체계 고도화, 국제 우주부품 인증 취득,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 등 글로벌 우주 전력전자 시장 진출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시지트로닉스 관계자는 “우주·방산 전력반도체의 국산화는 국가 전략기술 자립을 위한 중요한 성과”라며 “누리호 4차 비행 실증을 토대로 글로벌 우주 전자부품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지트로닉스는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한국 우주·방산 전력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기업으로 성장하고, 장기적으로 글로벌 우주 전력변환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