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사진=연합뉴스]
26일 홈플러스 매각 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마감된 홈플러스 인수 본입찰에 참여한 기업은 없었다. 앞서 예비실사에 참여한 인공지능(AI)·핀테크 기업 하렉스인포텍, 부동산 임대·개발 업체 스노마드 등 2개 기업도 이날 본입찰 참여를 위해선 구체적인 자금 조달 계획을 담은 투자 확약서와 세부 운영 계획서, 입찰 보증금 등을 납부해야 했지만 끝내 불참했다. 2개 기업 외에 추가 입찰자도 등장하지 않았다.
홈플러스는 회생계획안 제출 마감일까지 추가 인수 희망자를 찾겠다는 계획이다. 마감일까지 적정 인수자를 찾지 못하면 법원은 홈플러스의 회생절차를 폐지하고 파산 혹은 청산 절차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 청산 절차에 돌입하면 홈플러스 부동산, 설비 등 자산을 매각해 채권자들에게 배분하고, 직영직원과 협력업체 직원 등 10만명의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놓인다.
현재 홈플러스 새 주인으로 가장 유력하게 언급되는 후보는 농협이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하나로마트를 운영하는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하면 훨씬 큰 실익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18일 진행한 홈플러스의 가장 적절한 인수 주체를 묻는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38.8%가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인 농협을 택하기도 했다.
다만 농협 내부에서는 하나로마트의 적자 누적으로 홈플러스 인수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오프라인 유통업의 구조적인 침체로 농협 계열사인 농협유통과 하나로유통은 연간 800억원의 적자를 내고 있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국감에서 “농협유통과 하나로유통이 연간 400억원씩 적자가 나는 상황이고, 직원 200명 이상을 구조조정했다”며 홈플러스 인수가 쉽지 않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산업은행의 정책자금 지원 가능성도 나오지만 실제 투입 가능성은 미지수다. 홈플러스 정상화에 필요한 자금 규모는 5조원 내외로, 산업은행 단독으로 전액 지원하기엔 부담이 적지 않다. 정부 자금이 민간 채권 회수 지원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실제 정책자금 투입이 성사되려면 점포 폐쇄, 인력 축소 등 구조조정이 패키지로 동반돼야 하지만, 사회적 파장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통매각이 어렵다면 자산 일부를 분리매각 하는 방안도 논의된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등 수익성자산을 별도로 매각해 일부 재무적 안정이나 회생을 시도할 가능성이다. 다만 근로자 고용 보장 등의 이슈로 분리매각도 쉽지 않을 거란 게 업계의 전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