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중 관세율 145→50~65% 수준 하향 조정 검토”

해외

이데일리,

2025년 4월 24일, 오전 01:28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중 간 긴장 완화를 위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달러 약세 심화와 장기 국채금리 급등 속에 트럼프 행정부가 광범위한 관세전쟁의 출구 전략을 모색하는 모습이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대중 추가 관세율 145%를 대략 50~65%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았고, 여러 옵션이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WSJ에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고, 베이징의 행동을 보며 관세 인하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다른 옵션 중 하나는 미국 하원 중국 특별위원회가 지난해 말 제안한 것처럼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 품목에는 35%, 전략적 품목에는 최소 100%의 관세를 부과하는 차등 방안이다. 이 법안은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관세부과를 하는 방안이 담겨 있다.

백악관은 대중 관세 인하 검토와 관련한 내용을 확인하지 않았지만 부인하지도 않고 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WSJ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과 합의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관세 관련 결정은 대통령이 직접 내릴 것이다. 그 외의 결정은 모두 완전히 추측일뿐”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대중 관세율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145%의 대중 관세는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지만, “0%까지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율을 낮추겠다는 뜻을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역시 트럼프 대통령과 비슷한 발언을 내놓았다. 그는 전날 JP모건체이스가 워싱턴 D.C.에서 주최한 비공개 투자자 서밋에서 “매우 가까운 시일 내 미중 긴장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현재 수준의 관세율로는 현 상황을 지속할 수 없다는 데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세션에 참석한 사람들에 따르면 베센트는 현 상황을 본질적으로 ‘무역 금수 조치’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중국과의 다음 단계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며 “세계와 시장이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도록 미·중 간 긴장 완화 가능성이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목표는 미·중 탈동조화(decoupling)가 아니다”고 재차 강조했다. 양측이 극단적으로 관세율을 높여 무역을 완전히 차단하는 최악의 상황은 막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다만 그는 중국과의 협상이 “긴 여정이 될 것”이라고 인정했다. 앞으로 몇달안에 긴장이 일부 완화돼 시장에 안도감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낙관론을 표명했지만, 더 큰 협상은 더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시진핑 주석에게 직접 전화해주길 바란다는 뜻을 내비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에게 연락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중국은 아직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