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 옵션 중 하나는 미국 하원 중국 특별위원회가 지난해 말 제안한 것처럼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 품목에는 35%, 전략적 품목에는 최소 100%의 관세를 부과하는 차등 방안이다. 이 법안은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관세부과를 하는 방안이 담겨 있다.
백악관은 대중 관세 인하 검토와 관련한 내용을 확인하지 않았지만 부인하지도 않고 있다.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WSJ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과 합의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관세 관련 결정은 대통령이 직접 내릴 것이다. 그 외의 결정은 모두 완전히 추측일뿐”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대중 관세율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145%의 대중 관세는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를 낮출 것”이라고 말했지만, “0%까지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여지를 남겼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율을 낮추겠다는 뜻을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면서 “중국과의 다음 단계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며 “세계와 시장이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도록 미·중 간 긴장 완화 가능성이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목표는 미·중 탈동조화(decoupling)가 아니다”고 재차 강조했다. 양측이 극단적으로 관세율을 높여 무역을 완전히 차단하는 최악의 상황은 막겠다는 취지로 읽힌다.
다만 그는 중국과의 협상이 “긴 여정이 될 것”이라고 인정했다. 앞으로 몇달안에 긴장이 일부 완화돼 시장에 안도감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낙관론을 표명했지만, 더 큰 협상은 더 오래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시진핑 주석에게 직접 전화해주길 바란다는 뜻을 내비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에게 연락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중국은 아직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