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기업들, 이미 관세 비용 소비자에게 전가 시도중”

해외

이데일리,

2025년 4월 24일, 오전 05:38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시행 초기 단계에 직면한 기업들이 증가하는 관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AFP)
연준은 이날 공개한 경기동향 보고서(베이지북)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전면적인 관세 정책에 기업들이 가격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연준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기업들이 관세로 인해 원가 상승을 예상하고 있다”며 “이미 많은 기업들이 공급업체로부터 비용 인상 통보를 받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연준은 “기업들이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을 반영해 관세 할증료를 추가하거나 가격 책정 기간을 단축했다”며 “대부분의 기업들은 추가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언급했다. 다만 “그러나 일부 소비재 중심 기업에서는 수요가 부진해 비용 증가로 인한 마진 축소 사례도 보고됐다”고 덧붙였다. 가격이 지나치게 올라갈 경우 물건이 팔리지 않기 때문에 마진을 축소해 가격을 유지한 사례도 있다는 설명이다.

연준은 “뉴욕 지역에서는 식료품, 보험, 건설 자재 가격이 특히 상승했으며,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들은 이미 운송 관련 할증료를 부과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 “캐나다와의 무역 분쟁에서도 문제 징후로 뉴욕시 호텔 예약이 감소했고, 한 기술기업은 캐나다 내 비즈니스 계약을 잃었다고 보고했다”고 적었다.

이어 “서비스업 전망이 눈에 띄게 악화됐으며, 향후 몇 달간 급격한 활동 감소를 예상했다”며 “서비스 기업들은 계획된 투자를 대폭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연준은 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 효율부(DOGE)’가 워싱턴 D.C. 지역 고용에 미친 영향도 언급했다. 연준은 “연방 인력 감축은 지역 내 모든 기업에 영향을 미쳤으며, 연방 계약업체들도 예산 삭감에 대응해 인력을 감축했다”며 “예를 들어, D.C. 외곽의 한 연구기관은 계약 취소로 인해 인력을 감축했고, 버지니아 북부의 한 컨설팅 업체는 계약의 절반을 잃으며 인력을 25% 줄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