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23일(현지시간) 폭스뉴스가 지난 18~21일부터 미국 유권자 11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트럼프 2기 100일 평가’ 관련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전반적인 직무 수행에 대한 지지도는 44%로 지난 3월 49%에서 5%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8년 전 1기 당시 첫 100일을 맞았을 때 지지도 45%보다 낮고, 조 바이든(54%), 버락 오바마(62%), 조지 W. 부시(63%) 등 다른 역대 대통령보다도 낮은 수치다.
유권자들은 현 정국에 대한 불만이 컸다. 미국의 상황에 만족하지 않는 유권자 비율은 59%로 바이든 전 대통령 임기 말(68%)보단 낮지만, 바이든 1기 초와 트럼프 1기 초(각각 53%)보다 높았다.
분야별로 보면 트럼프 대통령은 국경 안보 정책에서 55%의 지지율을 얻어 유일하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민 문제에 대한 지지도는 4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반대도 48%로 엇비슷해 팽팽했다.
반면 주요 현안에서 지지율은 경제(38%), 인플레이션(33%), 관세(33%), 외교(40%), 세금(38%), 총기 정책(41%) 등에 그쳤다. 대부분 긍정 평가보다 부정 평가가 우세했다. 특히 인플레이션 문제에 대한 부정평가는 59%로 가장 컸다.
미 유권자들의 경제 체감은 여전히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71%가 경제 상황을 부정적으로, 55%는 가계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정책이 ‘해가 된다’는 응답은 51%로, ‘도움이 된다’는 응답(40%)보다 11%포인트 높았다.
또 앞으로 4년에 대해 희망적이라고 느끼는 유권자는 38%, 공화당 지지자는 75%로 나타났는데, 이는 각각 2017년(45%, 84%)보다 낮은 수치다.
가장 큰 우려 요인은 여전히 인플레이션(82%)이다. 비록 1월(89%)이나 2022년 7월의 정점(93%)보다는 낮아졌지만, 여전히 국민적 불안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정치적 분열(78%), 건강보험(76%), 정부 지출(73%), 경기침체(72%)에 대한 우려가 높았으며, 이민(66%), 이란 핵개발(66%), 우크라이나 전쟁(61%), 주식시장(58%)에 대한 불안도 상당한 수준이었다.
정당별로는 민주당이 경기침체·보건 문제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공화당은 정부 지출과 이민 문제에 더 우려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행사에서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트럼프 행정부의 역량에 대한 평가는 냉정했다. 유권자 52%는 트럼프 정부가 연방정부 운영에서 ‘유능하고 효과적이지 않다’고 봤으며, 이는 2017년과 동일한 수치다.
관세 정책에 대해서는 72%가 제품 가격 상승을 유발할 것이라 응답했고, 55%는 경제에 해가 된다, 44%는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 봤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수장으로 있는 정부효율부(DOGE)의 연방정부 개혁 시도에 대해서는 효율성 향상 기대가 49%였지만, 세금 인하 기대는 43%에 그쳤다. 트럼프 정부와 사법부 간의 충돌에 대해서는 58%가 판사들의 권한 행사는 정당하다고 봤으며, 대통령은 판결을 무시할 수 없다는 응답이 67%에 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개인적 호감도는 45%, 반감은 55%로 순호감도 -10%포인트였다.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에 대한 평가는 순호감도 6%포인트로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또 트럼프의 성공을 바라는 유권자는 62%로, 8년 전(80%)보다 18%포인트 하락했다. 공화당 내 기대감은 여전히 90% 이상이지만, 민주당·무당층에서는 급감했다. 2024년 트럼프에 투표한 유권자의 89%는 여전히 만족하고 있으나, 이는 4년 전(92%)과 8년 전(97%)보다 낮다.
여론조사 전문가 크리스 앤더슨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민 문제로 민주당과의 대립 구도를 가져가려 하지만, 유권자들이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제 문제를 소홀히 한다는 인식은 위험할 수 있다”며 “또 사법부를 무시한다면 견제와 균형을 중시하는 지지자들의 지지를 잃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