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남성이 도쿄 증권거래소의 닛케이225 지수가 표시된 전광판 앞을 지나가고 있다.(사진=AFP)
해커들은 거래량이 적은 국내외 특정 주식을 미리 사들인 후 탈취한 타인의 증권 계좌를 통해 해당 주식을 대량 매수해 가격을 인위적으로 부풀려 차익을 얻은 것으로 전해진다. 해커들이 해당 주식을 매도해 차익을 챙긴 후 주가가 하락하면 계좌 소유자들이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는 것이다. 이런 피해 사례가 다수 접수되면서 일본의 일부 증권사들은 특정 중국, 미국, 일본 주식에 대해 매수 주문 접수를 중단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사건을 통해 일본이 금융 시장을 보호하는 데 있어 사이버 보안상 허점이 있음이 드러났다”고 평했다.
도쿄에 거주하는 한 50대 투자자는 증권사 계정을 해킹 당해 약 5000만엔(약 5억원) 손실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평소 인덱스 펀드만 매수했으나 그의 계좌를 탈취한 해커는 신용거래로 일본과 중국 개별 주식을 사들였다. 해당 주식의 가격이 급락하면서 50대 투자자는 주가 매도를 결정했는데, 신용거래를 이용했기 때문에 손실 보전을 위해 다른 자산을 청산해야 했다.
가토 가쓰노부 재무상은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정부는 증권사들에게 손실 보상에 대해 고객과 성실한 협의를 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일본 증권업협회는 회원사들에게 다중 인증을 의무화하도록 시스템을 강화하라고 권고하고 있다.